우리소설속 가족의 중요성 분석-경상대 최시한 교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한국소설은 서구소설과는 달리 주인공의 운명이 개인의 욕망과꿈.이념의 질에 따라 결정되기보다는 가족의 운명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평소 소설의 연구가 우리의 이해에 이바지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경상대 崔時漢교수(41.국어교육과)가 소설형식과 가족의 운명을 규명한『가정소설연구』를 펴냈다.
이를 위해『사씨남정기』『치악산』『삼대』『태평천하』등 4권의 대표적 한국 가정소설을 연구.분석한 그는『가정을 유지시키고 번영시키려는 사람의 욕망은 어느 시대나 합리화되려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또 이책을 통해『한국인의 정신구조및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의 현실을 가족문제 중심으로 살폈다』고 말하는 그는 오늘날 TV드라마의 대부분이 가정드라마이며 한국인의 치열한 교육열도 부모들의 가족주의 때문이라고 분석 하고 있다.
그는「유교이념의 합리화구조」등을 통해 가족의 운명이 한국인의전체적 삶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