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직」 마크제/기업의 건강도 공인/정사협서 추진 관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시민의식개혁운동을 벌이고 있는 정사협(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시민운동협의회·상임공동대표 서영훈씨 등 4인)이 품질을 보증하는 KS마크처럼 기업의 반부패건강도를 인정하는 「정직보증마크」제를 추진중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정사협은 경실련 등 14대 대선때 공명선거실천 시민운동협의회로 활동했던 단체들이 부패추방·제도개혁 등을 기치로 내걸고 지난 5월 결성한 연합체.
현재 가입단체는 42개다.
정직마크제란 납세·정경유착·산업스파이·하청업체 거래 등 7∼8개 측면으로 기업을 평가해 일정수준 합격점에 들면 「정직한 기업」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정사협은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마련했으며 25일 42개 회원단체 대표자들의 회의에서 이를 의결하면 내달부터 실무작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계획에 따르면 정사협은 후보기업의 추천이 들어오면 공인회계사·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실사위원회에서 이를 심사한 후 각계 중진 인사들이 참여하는 선정위원회에서 자격있는 기업을 고른다는 것이다.
정사협은 두 위원회에 참여하는 인사를 물색하면서 정직마크를 도안중이다.
정사협은 최소한 1백여개 기업이 이를 신청하고 그중 1차로 10∼20개 기업이 선정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정사협의 정직마크운동은 공정성과 실사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정직마크가 기업활동·상품판매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작업이 추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사협측은 『전문지식을 갖춘 실사위원들이 기업회계장부도 들여다보고 하청업체 얘기도 듣는 등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물론 이런 실사는 원하는 기업에만 실시된다는 것이다.
소비자가 TV나 신문광고에서 정말 정직마크를 보게될지,그 기업이 정직마크대로 건강도를 보여줄지 관심거리다.<김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