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수리」설문조사 사실과 달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지난 10일자 소비자보호원이 발표한 농기계 사후봉사 실태에 관한 조사결과에 대한 보도내용을 보고 농업기계화에 관한 업무를 추진하는 실무자로서 사실과 거리감이 있어 해명하고자 한다.
보도내용에 의하면 트랙터 보유농가의 경우 32.9%, 콤바인의 경우 40.5%가 농기계 조작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지적하고 있으나 정부에서는 82년부터 트랙터나 콤바인과 같은 대형농기계의 경우 조작훈련수료증이나 기술자격증을 소지한 농가에 한해 지원·공급토록 제도화하고 있다.
또한 84%이상의 농기계가 연간 1회 이상 고장난 것으로 조사됐으나 조사대상기종의 사용연수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을 뿐 아니라 소모성 부품이나 오일교환, 기계의 조정, 이용자 부주의로 인한 고장 등이 전제되지 않고 모두 품질이 나빠 고장이 나는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다. 또 농기계 수리비부담도 82.2%가 비싸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으나 원가 등을 비교 분석, 발표해야 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소비자를 상대로 가격이 비싼가, 고장이 많은가 등 단순히 설문 조사한 결과를 과학적인 기준에 의한 검정이나 분석 없이 발표하는 것은 오히려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불신을 조장할 우려가 있음을 지적한다.
정부는 일정한 수리시설과 기술자가 있는 업소에서만 정부지원 농기계를 판매토록 하고 수리용 부품도 면 단위는 소모성 부품, 군 단위는 소모성과 준 소모성부품, 도 단위는 모든 부품을 확보토록 하고 있다. 부품의 유통도 농협과 민간으로 이원화하는 한편 농협은 도 단위에 10억원 정도의 부품을 갖는 종합부품센터를 설치했고 면 단위 농협까지 온라인 전산화했다.
또 간단한 사용자 정비사항이나 부품교환 등은 농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금년에 8만2천명에 대한 농기계조작 및 점검정비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금년의 경우 농기계 훈련장비의 구입·부품공급 등 사후봉사 부문에 총 2백70억원이 지원되고 있으며, 농기계 수리기술자는 병역특례를 받도록 제도화했다. 【박원규<농림수산부 농업기계과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