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야·대학운동권 “대변신”/투쟁보단 「개혁파트너」로 정부와 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시민운동·정책대안제시 나서 재야/정치성 벗어나 학내문제 주력 대학
문민정부 출범과 때맞춰 재야단체와 대학운동권이 대변신을 꾀하고 있다. 이들은 사회전반에 가시적인 개혁정책이 추진되자 지금까지의 투쟁일변도에서 탈피,정부를 대화파트너로 삼고 모든 문제를 대화로 풀어가는 쪽으로 행동방향을 바꾸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은 5,6공이후 타도대상으로 삼았던 정부를 「개혁의 파트너」로 인식,청와대 관계자나 정부각료 등을 직접 만나 개혁방향을 건의하고 지금까지의 무조건 반대나 시위대신 건전한 시민운동전개와 정책대안 제시 등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중이다.
새학기를 맞은 대학가도 대자보가 사라지고 학생회나 운동권도 정치이슈보다 학내문제에 주력하는 모습이 역력하고 전대협도 발전적으로 해체,새로운 진로를 모색하고 나섰다.
◇재야단체=전교조는 올해 사업방향을 정치운동이나 가두시위보다 일선현장에서의 교육민주화 실천에 치중하기로 정했다.
이에 따라 전교조는 지난 5일 청와대를 방문해 해직교사 복직과 교육개혁 등과 관련,『아무 조건없이 교육부와 협상할 용의가 있다』는 저항적인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정해숙위원장(여)은 『전교조 설립이후 청와대를 대화 파트너로 삼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현재까지는 김영삼정부의 개혁의지가 엿보이니만큼 과거와 달리 모든 문제를 교육부와 대화로 풀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공해추방운동연합은 지난달 28일 조직을 발전적으로 해체,특정 정부 정책에 대한 반대·저지라는 기존의 운동차원에서 벗어나 환경 감시나 연구조사에 역점을 둔 대중조직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전국환경단체연합」(가칭)을 결성중이다. 전노협도 지난 3일 청와대를 방문해 해직자 복직과 노동정책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고 노동인권회관의 경우도 앞으로 노동쟁의나 투쟁보다 노동상담·교육에 주력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대학가=예년과 달리 연세대·서강대 등 서울시내 대부분 대학에서 거의 모든 정치성 대자보가 자취를 감추었고 새정부 출범이후 가두시위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각 학생회도 정치문제보다 등록금 인상문제·복지시설·연구분위기 조성 등을 1학기의 주요 이슈로 삼고 있다.
전대협도 정치투쟁보다 학내문제·대중운동에 중점을 두기로 하고 최근 조직을 발전적으로 해체,「전국대학총학생회연합」(전총련)을 조직중이다.
서울대 조모군(23·법학과)은 『문민정부 출범이후 대학가에 전반적으로 탈정치 바람이 불고 있다』며 『상당수 학생들이 김영삼정권의 한계를 얘기하면서도 최근 개혁정책에 거는 기대도 큰 것 같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