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강화 영향 매매가 안정세, 전세는 소폭 오를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2면

 하반기에도 이 같은 안정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담보대출 규제가 계속되는 가운데 9월 분양가상한제 시행 등 매수세를 꺾을 수 있는 요인이 널려 있기 때문이다. 주택산업연구원 장성수 정책연구실장은 “대출 규제 강화와 이자 부담 등으로 수요자들의 주택 구매력이 떨어진 데다 분양가상한제로 값이 싼 새 아파트가 공급될 것이란 기대감에 기존 주택 구입을 미루는 경우가 늘 것”이라고 말했다.

 처분 조건부 매물의 증가도 가격 하락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것 같다. 건설산업전략연구소 김선덕 소장은 “올해 말까지 유예기간이 끝나는 처분조건부 대출이 4만여 건인 점에 비춰볼 때 하반기 급매물이 쏟아질 경우 집값이 떨어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처분조건부 대출이란 이미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을 받은 사람이 투기지역의 아파트를 추가 구입할 경우 1년 안에 기존 아파트를 처분하는 조건으로 대출받는 것을 말한다.

 최근 강남 재건축 시장의 ‘바닥 다지기’에 따른 국지적 집값 불안 소지는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렇다고 재건축아파트 값이 크게 오를 것 같지는 않다. 개발이익환수제와 분양가상한제 등 각종 규제로 사업성을 기대할 만한 곳이 많지 않아서다.

 뉴타운·재개발시장 전망은 대체로 맑은 편이다. 용적률 상향 등의 혜택을 주는 도시재정비촉진 특별법이 본격 시행되기 때문이다. 재개발(뉴타운)사업 구역 안에는 있는 아파트를 제외한 일반 주택의 경우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받지 않는 것도 전망을 밝게 하는 요인이다. 그러나 전체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을 경우 ‘나 홀로 상승’은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지방 주택시장은 투기과열지구 해제로 종전보다는 다소 활기를 띨 것 같다. 하지만 시세 회복으로 이어질 만큼 탄력을 받기는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최근 몇 년 새 공급 물량이 크게 늘어 투기과열지구 해제만으로는 위축된 수요가 살아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수도권 전셋값은 다소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아파트 입주 물량이 감소하는 데 분양가상한제 영향으로 ‘전세 눌러앉기’ 수요는 늘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하반기 수도권 일대 아파트 입주량은 5만5181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5% 줄어든다. 하지만 지난해 가을과 같은 쌍춘년 결혼 수요가 많지 않아 가격이 급등하지는 않을 것 같다.

조철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