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카드債 만기연장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LG카드 채권단은 공동 관리에 따른 부담을 덜기 위해 올해 돌아오는 LG카드 채권의 만기를 1년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금융회사의 반발이 작지 않아 공동 관리가 성사될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채권단의 공동 관리가 무산되면 LG카드가 법정 관리로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LG카드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2004년 만기가 돌아오는 LG카드의 회사채.기업어음(CP).자산유동화증권(ABS) 등 차입금 10조여원의 만기를 1년씩 연장하는 내용의 동의서를 은행.보험.증권.투신.연기금.외국계 투자기관 등 관련 금융회사에서 받기로 했다"고 지난해 12월 31일 밝혔다.

채권단 관계자는 이날 "LG 카드채의 만기 연장 동의서와 공동 관리에 대한 합의서를 오늘 중 관련 금융기관들에서 받을 계획"이라면서"투신권 등 제2금융권이 대부분 만기 연장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투신업계는 이에 앞서 30일 사장단 회의를 열고 29개 채권 보유 투신사 가운데 20개사가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1조5천억원 규모의 LG 카드채 만기 연장에 동의했다. 하지만 일부 투신사는 "펀드 자금은 투자자들이 위탁한 자산이라 사전 동의없이 만기 연장이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만기 연장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공동 관리를 할 수 없고, 그렇게 되면 법정 관리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어느 쪽의 손실이 더 클지는 관련 금융 회사들이 더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10개 채권은행과 6개 보험사 등 16개 금융회사에 대해 LG카드 공동 관리와 자본 확충 방안에 대한 합의서를 제출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31일 오전 현재 우리은행만 합의서를 제출했다. 채권단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채권단 공동 관리 자체가 무산된다.

채권단 관계자는 "공동 관리가 무산되면 일단 법원에 법정 관리를 신청하고, 법정 관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청산 절차를 밟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콜자금 형태로 3천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국민은행.우리은행.농협도 LG카드에 대한 공동 관리 방안이 확정되지 않으면 자금 지원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LG카드의 자금 위기가 재연될 우려도 크다.

김창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