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환자 권익보호 시급"|권익옹호 협 설립추진 김준명 박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어느 에이즈(후천성 면역결핍증)감염 자는 감염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웃들이 반상회를 통해 아파트 값이 내려간다고 이사가기를 종용해 왔을 때 자살을 결심했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한국도 에이즈 감염 자나 그 가족들의 권익옹호를 위해 일할 민간단체의 설립이 시급합니다.』
12월1일「세계에이즈의 날」을 앞두고 가칭「에이즈 예방 및 환자권익옹호협의회」구성을 추진하고 있는 연세대의대 김준명 교수(내과)는『감염 자나 환자들이 육체적 고통보다 더 큰 정신적 고통과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우리나라에는 11월말 현재 2백32명의 감염 자와 10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감염자수는 공식통계보다 5 ∼10배정도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
일단 에이즈감염자임이 밝혀지면 어디에도 발붙이고 살수가 없는 게 현재의 실정이며 때문에 감염이 의심되는 이도 검사 받기를 꺼려해 실제 에이즈환자는 공식통계보다 훨씬 많다고 김 교수는 설명하다.
『단체가 결성되면 환자들이 안정된 상태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감싸주고 가족들이 부당하게 회사에서 해고되는 일등이 없도록 힘쓸 것입니다.』
또 에이즈 감염자가 직접 나서는 에이즈 예방교육과 콘돔 나눠주기 등 정부가 직접 나서기는 어렵지만 현실적으로는 꼭 필요한 일도 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미국에는 ACTUP(에이즈해방 총 연합)이 라는 순전히 민간인으로만 구성된 에이즈환자들의 권익옹호단체들이 수십 개나 있으며 우리보다 감염자 수가 적은 싱가포르에도 올 들어 이같은 단체가 결성됐다.
미국의 경우 이 단체는 에이즈 관련 정부대책에 자문을 하며 감염자들의 직업알선, 약값인하 투쟁, 감염자 부당 해고에 대한 법정투쟁 등의 활동을 해왔다.
협의회는 내년중반기 결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의료계 뿐 아니라 법조, 종교, 언론, 여 성, 정·재계의 광범위한 동참이 필요하다고 김 교수는 강조한다. <문경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