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 안서는 교통대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판교 신도시 개발계획은 확정됐지만 교통대책은 추진 일정이 계속 늦춰지고 있다. 정부는 당초 판교 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선(先)교통대책-후(後)개발' 방침을 밝혔지만 공염불이 될 공산이 커졌다.

건설교통부는 26일 판교 신도시 교통대책과 관련, 서울 강남.잠실.광화문을 논스톱으로 주행하는 광역버스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또 신도시에서 강남으로 쉽게 갈 수 있도록 판교와 성남대로를 잇는 탄천변로(5.8㎞)와 판교~분당간 연결로(4.0km)를 새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와 함께 현재 출퇴근 시간대에 분당.용인 주민들이 몰려 극심한 정체 현상을 빚고 있는 판교IC를 분당 방향과 경부고속도로 방향으로 완전히 분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것도 신도시 주민들의 교통수요를 소화시키는 데는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지적이다. 판교 신도시의 핵심 교통대책인 신분당선과 용인시 영덕~서울 양재간 고속화도로 건설 사업 추진 일정이 늦춰지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신분당선은 분당~판교~서울 신사(20.5㎞) 구간을 20분 안에 주행할 수 있도록 2008년까지 완공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경기도가 정부와 함께 절반씩 부담하기로 했던 사업비 지급에 난색을 표하면서 민자사업으로 전환됐다. 그나마 사업자 지정이 늦어져 내년 예산 편성에도 초기 사업비용이 반영되지 않았다.

건교부는 2009년까지 완공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아무리 서둘러도 2005년에나 착공이 가능해 실제 개통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영덕~양재간 고속화도로는 6차로로 2006년 말까지 개통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서울시가 이 도로의 서울 도착지점인 헌릉로의 교통난을 우려해 4차로로 바꿔 달라고 요구해 설계를 변경하느라 사업 추진이 늦춰지고 있다. 건교부 계획대로 2007년 개통되더라도 판교 출발지점은 6차로지만 헌릉로 쪽에서는 4차로로 좁아져 병목현상이 불가피하다.

판교 신도시가 시범단지를 중심으로 2007년 입주가 시작되는 점을 감안하면 주민들은 입주 후에도 한동안 이들 교통인프라를 이용할 수 없다.

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