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분희」 등 한자말 어두 ㄹ음은 잘못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말ㅆ·ㅁ」 등 아래아(·) 사용도 금지키로/국어심의회/아버지를 「아버님」하면 안맞아
국어심의회 한글분과위원회(위원장 이기문서울대교수)는 21일 표기에 혼동을 일으키는 두음법칙 등 한글 맞춤법을 재확인하고 국립국어연구원이 상정한 표준화법을 확정했다.
국어심의회가 재확인한 한글 맞춤법 두음법칙에 따르면 최근 일부 언론에서 북한의 맞춤법을 좇아 「이분희」를 「리분희」로,「임수경」을 「림수경」 등으로 표기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고 한글 맞춤법 제10∼12항에 따라 원칙적으로 한자로 된 낱말의 어두에는 「ㄹ」음을 써선 안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남한의 인명·지명은 물론 북한·중국의 인명·지명·기타 고유명사도 남한의 어문 규범에 맞춰 「노동신문」(로동신문),「양강도」(량강도),「여룡길」(려룡길) 등으로 표기해야 한다. 이와함께 국어심의회는 이미 사라진 「·」(아래아)를 「말ㅆ·ㅁ」 등 국어글자로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에 대해 『국어의 표기 질서를 어지럽히는 일』이라 밝히고 「·」를 사용하는 것은 맞춤법에 어긋나는 일임을 분명히 했다.
국어심의회는 또 호칭·지칭어·경어법·인사말 등 총 27항목으로 된 생활언어의 표준화법을 확정했다.
이 표준화법은 국립국어연구원이 마련한 「국어의 표준화법」을 그동안 각계의 의견과 제의를 받아 그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표준화법에 따르면 친부모에게 「어머님」 「아버님」 등 「님」자를 붙이는 것은 틀린 어법이며 손위 처남·손위 동서를 부를때 처가 서열에 따라 「형님」이라 부르는 것보다 「처남」 「동서」라 부르는 것이 올바른 화법이라는 것이다.
이날 확정된 한글맞춤법중 두음법칙 등과 표준화법은 문화부장관이 공포하게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