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전담병원 신설/94년까지 서울·부산·대구에/정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고속도 긴급전화·순찰차도 늘리기로/구급의료체계 개선방안 확정
정부는 고속도로 등 교통사고 다발지역에서 응급조치 지연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오는 94년까지 고속도로 긴급전화 8백대와 경찰·도로공사 순찰차량 1백8대를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서울·부산·대구 등 3대 도시에 시립 및 민간출자의 「교통사고전담병원」을 설립하고 「도로공사구급대」를 발족,구급차를 고속도로에 순회배치함으로써 현재 10∼20분이 소요되는 현장출동시간을 선진국 수준인 10분 이내로 단축키로 했다.
정부는 22일 내무·교통·경찰청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교통사고 구급의료체계 개선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개선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119구급대」의 지역별 전담제를 실시키로 했으며 경찰청을 중심으로 「헬기긴급구조대」를 창설,고속도로 등의 대형사고에 대비하고 교통체증시 이륜구급차 이용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사고현장과 구급차내에서의 응급조치능력향상을 위해 구급차·순찰차에 기본응급장비 및 구급약을 상시비치토록 하고 구급차에 응급구조요원이 동행토록 행정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응급구조사」 양성계획을 조기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교통사고 환자의 즉시 수용을 위해 이미 정부에서 지정한 2백48개소의 응급의료센터·응급의료지정병원의 응급조치기능이행 상황에 대한 일제점검에 나서고 서울 등 6대도시의 고속도로 진입로 부근에 있는 응급의료센터 등을 교통사고 전단병원으로 지정·운영키로 했다.
정부는 이밖에 교통사고 정보통신망의 확충을 위해 「129응급환자정보센터」의 전산망을 확충하고 각종 구급차에 통신장비를 완비하는 한편 고속도로 난청지역 해소를 위해 중계기 등의 설치를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