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조사단의 검찰방문(촛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검찰수사가 은폐조작된 것이라는 비난을 받지 않도록 공정한 수사를 촉구하러 왔습니다.』
12일 오전 정보사부지 사기사건으로 숨가쁘게 돌아가는 서울 서초동 서울지검으로 민주당 진상조사단소속 박상천·강철선·이협 의원이 방문했다.
수서사건을 제외하고는 안기부 흑색선전물사건처럼 정치적 사건때에도 없었던 국회의원의 검찰청사 직접 방문은 이번 사건이 정치권에서도 얼마나 비중있게 여겨지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듯 했다. 박 의원 등은 『이번 사건과 관련,35개의 질문사항을 준비했다』며 『검찰이 충실히 답변하지 못하면 수사가 잘못되고 있음을 자인하는 셈』이라고 이번 의혹을 파헤치겠다는 굳은 결의를 보였다. 조사단 일행을 맞은 전재기검사장은 『수사중인 사건은 국정조사로도 조사할 수 없으므로 진상조사차원이라면 답변을 거부하겠다』고 못박았다.
그러나 전 검사장도 이번 사안의 중요성을 인식한듯 곧 『다만 개인적 차원에서 묻는다면 아는 범위에서 대답하겠다』고 후퇴했다.
박 의원은 이에 대해 『조사단은 강제수사권이 없어 검찰이 답변을 거부하면 거부하는대로 당에 보고할 방침』이라고 응수했댜. 보도진들을 내보낸 뒤 의원들이 전 검사장과 마주앉아 「의혹」을 조사한 시간은 2시간.
조사단 일행은 전 검사장과의 면담이 끝나자 『조사내용은 추후에 종합,발표하겠다』며 검찰청을 빠져나갔다.
국회의원의 방문을 곱지 않게 보는 몇몇 검사들은 『수서사건때도 국회진상조사단이 대검을 방문한 적이 있었으나 별다른 수확을 건지지 못했었다』며 『이번에도 대선을 의식한 대외과시용 아니냐』고 비아냥거리기도 했다.
그러나 전 검사장이 『검찰로서도 논리적으로 해명이 안되는 부분이 너무 많다』고 시인한 것처럼 이번 사건은 풀리지 않는 의혹이 함정처럼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국회의원 3명이 검찰청을 방문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온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면에서 검찰이 이번 방문을 단순한 「정치쇼」로 치부해서는 안될 것이다.<남정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