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법 걸림돌 많다|유엔환경개발 한국위 정책토론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수입농산물에 대한 우려농산물의 경쟁력증진과 함께 환경오염을 줄이고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유기농업을 적극 육성해야 합니다.』
4일 오후2시 서울 이촌동 농업기술자회관에서 한국여성민우회와 유엔환경개발 한국위원회 주최로 열린「유기농업의 현주소」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유기농법에 대한 정책적 육성만이「우리 농업을 살리고 우리 환경을 지키는 길」이라고 입을 모았다.
유기농법이란 화학비료·살균제·제초제 등 화학비료나 농약사용을 억제하고 가축분뇨·퇴비 등 자연비료를 최대한 활용하는 농업방식. 최근 인기를 끌고있는 무공해 채소와 과일을 생산하는 농법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유기농업 실천 농가는 1천5백여 농가로 전국 총농가의 0.08%수준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전체의 72%가 3년 미만으로 기술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 시장규모는 연간 2백80억원 정도며 매년 25%이상의 소비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판매방식은 생산자·소비자의 직거래형식을 취하고있어 시장이 제한 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날 유기농업의 의의와 전망에 대한 주제발표를 한 서종혁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는 유기농법의 확대를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한다. 그것은 ▲토지 생산성이 일반영농에 비해 70∼80%떨어져 가격이 비싸며 ▲유통체제의 미확립으로 판로의 어려움 ▲비용이 많이 드는 퇴비제조 ▲공식기관의 품질보증이 없어 신뢰구축에 어려움 ▲기술수준이 낮고 체계적 연구가 부진, 교육이 어려운 점 ▲정책자금의 지원부족으로 생산면적 확대가 어렵다는 등이다.
한편 이날 토론회를 마치며 참가자들은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 정부의 유기농업발전을 위한 정책마련 및 법제 정비, 수입농산물 검역기준강화 등을 요청했다. <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