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직제 확대개편 필요"|10월 구 중앙박물관 자리로 이전 앞두고 들어본 "목소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오는 10월 이전을 앞두고 국립민속박물관의 조직과 직제가 확대 개편돼야 한다는 소리가 높다.
우리민속에 대한 연구는 60년대 구비문학, 70년대 무속연구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돼오다 대학에 민속학과가 설치되는 등 상당한 성과를 거뒀으나 이를 담아내기에는 민속박물관이 조직이나 인원면에서 너무 왜소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현재 왕족 및 양반중심으로 된 민속문화에 대한개념을 과감히 수정, 당시 사회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기층민중들의 삶을 중심으로 재구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있다.
지금의 국립민속박물관은 지난46년 남산 왜성대에 설치됐던 국립민족박물관을 모태로 하고 있다.
민족문화의 발굴·보급을 통해 한국문화의 보존·전승을 목표로 한 이 박물관은 한국민속학의 개척자 석남 송석하 선생의 개인 수집품이 주류를 이뤄 개인적인 관심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이 마저도 50년 6·25동란의 여파로 국립박물관에 흡수돼 남산분관으로 격하됐다가58년에는 직제 마저 없어지게 됐다.
민속박물관이 다시 제 모습을 찾게된 것은 66년 10월 경복궁의 수정전에 한국민속관이 설립되면서부터다.
이어 75년 현재의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이름이 바뀐 후 오는 10월에는 경복궁내 구 중앙박물관자리에 총 공사비 1백78억5천만 원을 들여 건립한 연건평 4천5백평 규모의 새로운 건물로 이전할 채비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확대이전을 앞두고 직제 개편 및 인원증원이 뒤따르지 못할 경우 시설규모에 상응하는 업무를 추진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국립박물관의 위상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있는 것이다.
현재 민속박물관은 학예사5명만이 직제상 편성돼 유물의 수집·보존·전시 등의 모든 업무를 떠맡고 있는 실정이어서 박물관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기에는 역부족이며 앞으로 이전 후의 업무는 더욱 감당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국립중앙박물관 산하로 돼있는 직제도 재고해야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박물관은 그 대상에 따라 고고 미술, 자연사·과학, 민속·문화사, 유적박물관 등 크게 4분야로 나눌 수 있으며 외국의경우도 이 같은 개념에 따라 각각 별도의 박물관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의 경우 고고 미술 박물관 격인 국립중앙박물관이 모든 박물관을 대표하고 있는 실정인데 민속박물관은 별도로 분리 독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대 한상복 교수(인류학과)는 『고고학 유물·미술품뿐만 아니라 생활도구와 풍습 등을 후손들이 보고 느낄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며『한민족의 생활상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박물관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특히『앞으로 민속박물관은 각 나라의 민속을 함께 전시, 우리 것과 비교해 볼 수 있는 민족박물관으로 성격을 잡아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방화시대를 맞아 지역사회의 자긍심 고양을 위해 향토박물관 등이 많이 생겨날 것으로 보이는데 민속박물관의 확대개편과 함께 올바른 민속 개념을 정립해야할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김상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