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살여부 규명에 총력/오대양 집단변사 수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법의학자 통해 사인규명 착수/계획적 살인등의 가능성 추적
오대양 살해암장범들의 자수가 (주)세모 유병언사장의 지시에 의해 조직적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이 밝혀진 가운데 살해암장범들의 자수 배경과 32명 집단 변사사건의 역학관계를 푸는데 검찰수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수사결과 세모와 오대양의 무관함을 내세우려 했다는 암장범들의 자수동기 이면에 또다른 절박한 사연,즉 집단변사사건과의 연관성에 검찰이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그동안 「꼬리끊기식」수법으로 법망을 피해온 유씨의 상습사기행각 수사를 통해 오대양사채가 세모로 유입된 사실을 확인했다.
검찰은 또 자수자 및 참고인들의 끈질긴 부인에도 불구,세모측이 탁명환씨 등과의 소송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조직적으로 자수모임을 배후조종하면서 오대양과의 무관함을 내세우려 했다는 사실도 밝혀내게 됐다.
이에 따라 검찰은 오대양사건의혹의 핵심인 집단변사사건수사에 박차를 가하면서 어떤 형태로든 세모측이 변사사건과 관련되어 있다는 심증을 굳히고 있다.
검찰의 이같은 심증은 세모측이 비록 ▲탁씨등 반대세력에 지나칠 정도의 과민반응을 보여왔고 ▲집단자수극의 파장을 과소평가했다하더라도 장기간 다각적인 준비를 거친 점에 비추어 「모험을 무릅써야할 절박한 이유」를 갖고있으리란 분석에 따른 것이다.
검찰은 특히 수사과정에서 유씨가 숨진 오대양사장 박순자씨와 집단변사사건 이전부터 연관을 맺고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오대양의 존재가 세모·구원파의 그늘아래 자리잡고 있었으며,자수자들이 「집단변사의 원인을 밝히기위해」자수했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검찰관계자는 『80년대초반의 사채사기,87년 집단변사,그리고 자수극으로 이어지는 사건흐름으로 볼때 집단변사사건이 오대양­세모­구원파의 삼각구도하에 재조명될 수 밖에 없다』면서 『검찰은 종래 수사결과에 구애받지 않는 원점수사를 펴고있다』고 밝히고 있다.
검찰은 따라서 현장재조사와 법의학자 및 수사관계자등의 소환조사를 통해 집단변사자의 사인규명에 착수했으며 관련자의 사망으로 유씨의 영장범죄사실에서는 제외된 오대양­세모간의 사채거래 총규모와 모금·전달경위를 추적중이다.
검찰은 또 자수극의 직접동인이 된 탁명환씨와 정동섭 교수 등을 소환조사하는 한편 계획적 살인극임을 주장해온 민주당 김현 의원 및 채권단등도 소환조사해 집단변사사건의 모든 가능성을 재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사건현장부재와 발생후 4년이라는 시공의 한계를 넘어서야하는 검찰의 변사사건수사가 어느정도의 성과를 거두게 될지는 미지수.
또한 공소유지의 부담을 진 상습사기사건이나 살해암매장범 자수사건 수사와 달리 자·타살주장이 팽팽히 맞선 변사사건수사에서 검찰이 적극적 수사를 펴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검찰은 지금까지 ▲사건현장에서 외부세력이 침입한 흔적을 발견할 수 없고 ▲변시체가 외부에서 옮겨졌을 가능성도 희박하며 ▲자·타살여부 등은 확인중이라는 수사답보를 계속하고 있어 이같은 우려를 더해주고 있다.
그러나 검찰은 대규모 수사팀을 편성,사채사기와 자수배후를 밝혀낸 수사성과의 빛이 바래지 않기 위해서라도 미진한 초동수사와 서두른 수사 종결이 걷잡을 수 없는 의혹을 낳았던 집단변사사건을 명쾌하게 밝힘으로써 국민의 기대와 신뢰에 부응해야할 것이다.<대전=권영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