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역 2020년 이후 이전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목표년도 2020년의 광주시 도시기본계획은 목표년도 2011년을 기준으로 1995년에 수립한 계획보다 인구수는 40만명, 대상지역은 2백43㎢이나 축소 조정된다.

광주시는 24일 시청 회의실에서 올부터 새롭게 적용된 국토이용관리계획법에 따른 2020년 광주도시기본계획안에 대한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이 기본계획안은 목표년도의 인구수를 1백80만명으로 잡아 95년에 수립한 기본계획의 2백20만명보다 40만명을 축소했다.

대상지역도 7백44㎢에서 5백1㎢로 축소시켰다. 종전엔 광주시에 인접한 전남 나주.장성.담양.화순군 일부지역을 포함했으나 이번에는 광주시 행정구역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다.

기본계획안은 또 도시공간구조를 종전 1도심-3부도심(상무.첨단.송정)-5지역중심(본촌.하남.우산.백운.금호)구조에서 2도심(도심.상무)-2부도심(첨단.송정)-5지역중심(수완.본촌.광천.백운.금호)-3특화핵(월곡.각화.효천)의 지역별 집중형 중심지 체계로 개편했다. 광주역은 접근성.연계성.재정부담.영향권 이용인구 등을 고려해 존치하는 대신 2020년 이후 이전을 검토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공원계획은 어등산 그린벨트 일반조정지 22만평을 유원지로 신설하고 중앙공원을 89만평에서 84만평으로 줄이기로 했다. 교통계획은 광주~무안 및 광주~완도 고속도로와 광주외곽 순환도로를 정비하고 서울~광주~목포 고속전철을 도입하는 것을 기본계획으로 세웠다.

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