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블로그] '미리보는 2007년 헤드라인' 가상뉴스 7가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해는 미래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는 때. 각계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올해 신문에 굵은 글자로 등장할 '미리보는 2007년도 헤드라인' 뉴스 7가지를 선정해봤다. 국내외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선정한 이 헤드라인의 오차범위는 '±25%'다.

1.노무현-김정일 정상회담 제3국에서 성사

김대중 전 대통령은 3일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이는 남북관계 전망이란 형식을 빌려 한 얘기지만 실제로는 노무현 대통령에게 '김정일을 만나라'고 주문한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앞서 노대통령도 뉴질랜드 방문중에 '언제든지 만날 용의가 있다'고 했다. 짐작컨대 지난 4년간 노대통령이 보내준 쌀과 비료 그리고 외교적 지원에 힘입은 김정일이 인사치례로 정상회담에 나올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김정일이 노대통령에게 "내가 5월말 러시아 연해주에 갈 예정인데 잠깐 이쪽으로 오시오. 나를 만나고 싶은 모양인데 만나주겠소, 그리고 오는 김에 차기 대통령이 되고 싶은 후보도 데리고 오시오"라고 제의할 공산이 있다. 평소 '모든 것을 다 깽판쳐도 정상회담 하나만 잘하면 된다'는 소신을 가진 노대통령이 이 제의를 수락한다면 다소 우스꽝스럽긴 하지만 노무현-김정일 정상회담이 성사될 수도 있다.

2. 노무현 '식물 대통령'되다

이는 뉴스가 아니라 이미 현실이다. 왜냐면 CBS의 조사에 따르면 노대통령의 12월말 지지율은 12.6%에 불과하다. 지지율이 10%대인 대통령에 '식물 대통령'이라는 헤드라인이 등장하지 않는 것은 그나마 신문들이 점잖다는 반증이다. 12월 대선 경쟁이 가열될 수록 노대통령의 식물화는 가속될 것이며 열린우리당도 노대통령을 '밟으려'할 공산이 크다. 노대통령이 아무리 국민들과'온몸으로 소통'하겠다고 큰 목소리로 떠들어도 아무런 주목을 받지 못할 것이다. 한국민은 이미 정서적으로 노대통령을 탄핵한지 오래다.

3. 정치권 4월에 '빅뱅'온다

중앙일보 정치부에서 10년이상 정치권을 관찰해온 전영기 기자에 따르면 다른 후보들을 더블 스코어 이상으로 따돌리며 독주하는 이명박의 독주 레이스는 4월에 결정적 국면을 맞이 한다. 4월에는 재보궐 선거가 있는데 이때를 계기로 '선거에 강한 여인=박근혜'가 대추격을 시작한다. 만일 박근혜의 롤백이 성공할 경우 한나라당은 물론 열린우리당을 포함한 한국 정치권은 일대 빅뱅을 겪게된다.

4.부동산 버블 2007년말부터 꺼진다

지난 4년간 줄곧 오르기만 했던 한국의 부동산 버블이 2007년 말을 기해 터질 것이다. 현재 강남지역 최고급 아파타의 평당 가격은 7000만원이다. 만일 이 가격이 8000만원에 오르면 이는 한국의 물가, 구매력 수준으로 도저히 지탱할 수 없는 가격이다. 즉 평당=8000만원은 한국 아파트의 꼭지점이라는 얘기다. 버블이 꺼지기 직전 눈치빠른 사람들은 잽싸게 부동산을 팔아 차익 실현에 나설 것이고 미련스러운 Bubble Sitter들은 그 버블 붕괴속에 몸부림을 칠 것이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강남 부동산 때려잡기=정권 목표'로 간주해온 노대통령은 이 버블 붕괴를 채 보지 못하고 그 공을 차기 대통령으로 넘겨야 한다는 점이다.

5. 오사마-빈 라덴 체포

2006년 연말 헤드라인은 사담 후세인 처형이 장식했다. 아무래도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한 해에 자신의 주적 한명씩을 처단하기로 결심한 것 같다. 그렇다면 2007년은 빈 라덴 체포 가능성이 크다. 파키스탄-아프간 국경 근처 동굴에 은신한 라덴은 날씨가 좋아지는 5-8월경 체포되거나 사살될 것이다. 만일 라덴을 체포 못한다면? 걱정 할 것 없다. 쿠바의 카스트로가 어차피 올해 죽을 것이다.

6. 일본 핵무장 허용 헌법개정

일본을 '보통국가'로 만들려는 아베 일본 총리의 지지율이 나날로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9월 60%대의 높은 지지율 속에서 출범한 '아베호'는 최근 50%대로 떨어졌다. 각종 스캔들과 인사 문제로 아베 정권이 흔들리고 있다. 정치적 풍랑을 만난 아베가 지지율을 회복하기 위해서 헌법개정을 걸고 일대 도박을 할 공산이 있다. 또 헌법을 개정하면서 과거의 비핵 3원칙을 폐기하고 일본의 핵무장이 가능한 법적 근거를 열어놓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동북아에는 중국,북한에 이어 일본을 포함 3개국이 핵무장국이 된다.한국은?

7. 러시아 그루지아 침공

러시아와 이웃 그루지아가 일촉즉발의 갈등을 벌이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해 9월 그루지아 주재 러시아 대사를 소환했다. 또 그루지아에 거주하고 있는 러시아 국만에 대해 철수령을 내렸다. 반면 그루지아는 러시아 장교를 스파이 혐의로 체포했다. 또 그루지아는 러시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친러파 정치인 29명을 체포했다. 또 그루지아 대통령은 나토와 미국과 군사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유라시아의 대국 러시아가 인구 460만의 소국 그루지아의 '반항'을 언제까지 용인할지 미지수다. 만일 그루지아에 친러 쿠데타나 인종적 분규사태가 발생할 경우 러시아는 '이 지역의 안정과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그루지아에 병력을 파견할 공산이 있다.

최원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