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CoverStory] 웰컴 투 셀프 파티 - # 3 깜짝 선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3면

"업무 특성 때문에 평일 저녁을 집에서 먹는 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주말 출장이 잦아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도 다른 아빠들보다 훨씬 적고요." 두 아이의 아빠이자 한 여자의 남편인 박정선(40)씨. 입을 열자마자 '가정 소홀'의 미안함을 일 핑계로 둘러대느라 분주하다.

"그래도 함께 있을 때 잘하자는 마음가짐으로 짬만 나면 가족과 보내려 최선을 다합니다." 유별나게 노력한다고 힘주어 말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신뢰가 가질 않는다.

"진짜라니까요. 가끔은, 아주 가끔은 휴일 아침에 잠든 아내와 아이들을 위해 밥상을 차리기도 한다니까요." 그나마 최선을 다한다는 게 냉장고를 뒤져 계란 프라이를 하고, 빵을 구워 우유랑 내놓는 수준임에 틀림없다. 아무리 이야기를 들어봐도 대한민국 다른 아빠들의 변명과 별반 다를 게 없다.

박씨는 축구 마케팅 전문기업체 FC네트워크의 임원(이사). 평일은 그렇다 쳐도 축구 경기가 열리는 주말엔 그의 말대로 일 때문에 가족과 지낸다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 축구 경기가 없는 요즘이 박씨에겐 그나마 여유 있는 시간이다. 그동안 소홀했던 것을 만회해 보려 이리저리 궁리를 하다 특별 이벤트로 '아빠가 준비하는 크리스마스 파티'를 떠올렸다. 막상 준비하려니 메뉴 선정부터 음식 장만까지 만만치 않았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로 하고 파티 연출업체 푸드에세이(www.foodessay.com) 대표 신연하씨를 만났다.

"일단 마음가짐이 중요한데 박 이사님처럼 가족을 위해 식탁을 꾸밀 생각을 했다면 주방에서의 육체적 어려움은 충분히 소화해낼 수 있을 거예요." 이것저것 꼼꼼하게 챙겨 묻던 신씨가 슬슬 아빠의 파티 요령을 풀어내기 시작한다.

"부엌 살림에 익숙하지 않은 남자가 음식을 하려면 손이 덜 가는 메뉴가 좋습니다. 물론 크리스마스처럼 특별한 날엔 담은 모양도 고려해야지요. 그러나 무엇보다 아이들과 아내의 취향을 감안하는 게 중요해요."

바이올린 레슨을 하는 박 이사의 부인 전영아(39)씨는 포크와 나이프로 식사하는 서양식 요리를 좋아한다. 유치원에 다니는 막내아들 한울이는 먹성이 좋아 아무 거나 뚝딱. 박 이사 본인은 "세계가 공인한 잡식가"라 자칭할 정도로 가리는 게 없다. 문제는 입맛 까다로운 큰아들 우솔이(14). 그나마 좋아하는 메뉴가 생선이란다.

신씨가 박 이사 가족의 식성을 파악한 뒤 제안한 메뉴는 게맛살 카나페 → 과일 샐러드 → 주 요리 → 과일 꼬치로 이어지는 코스 요리.

게맛살 카나페는 손으로 집어 먹을 수 있고, 과일 샐러드는 아이스크림에 담아 아이들을 유혹하기 좋은 메뉴란다. 과일 꼬치는 크리스마스 트리를 대신할 정도로 예쁜 모양이므로 코스를 고집하지 말고 처음부터 올리면 식탁의 분위기를 살릴 수 있다는 것. 주 요리를 놓고 고민하는데 갑자기 박 이사가 참치 스테이크를 제안했다.

"참치 캔을 사서 일본 유학 시절에 자주 해먹던 것이라 자신 있습니다. 참치는 영양적으로 뛰어나 아이들에게 좋잖아요. 게다가 입맛 까다로운 우솔이와 '칼질파' 인 집사람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잖아요."

인근 할인점에서 장을 보고 식탁을 차리는 데 걸린 시간은 대략 3시간. 아빠가 차린 크리스마스 식탁에 둘러앉아 오랜만에 집안 가득 이야기꽃이 피었다.

글=유지상 기자<yjsang@joongang.co.kr>
사진=권혁재 기자 <shot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