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만 물류단지 임대료 크게 인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부산신항과 광양항 등 국내 주요 항만의 배후 물류단지 임대료를 파격적으로 낮추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기존 부산항(평당 연 임대료 7만~8만원)의 경쟁 항인 상하이(上海)항(평당 2만3천원)보다 임대료를 싸게 해 세계적 물류기업들을 유치하려는 것이다. 임대기간도 최장 50년으로 늘려 안정적 사업을 보장할 방침이다.

최장현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6일 "세계적 물류기업들이 들어와야 동북아 물류중심국가가 가능한 만큼 임대료 면에서 상하이항보다 경쟁력이 있도록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양부는 내년 시행 목표로 이번 정기국회에 제출하는 자유무역지역법에 임대료 인하의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해양부는 내년 상반기에 ▶부산신항 배후 물류단지 37만평▶광양항과 배후 물류단지 94만평▶인천항 남항 컨테이너 터미널과 제4부두 인접 배후지 28만6천평 등 모두 1백60만평을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세배를 웃도는 것이다.

해양부는 이곳에 머스크-시랜드 로지스틱스나 월마트.카르푸 같은 세계적 물류기업들의 유치를 추진 중이다. 일본 화물 운송업체들도 부산항 물류기지의 임대료를 내리면 중국이나 일본으로 가는 환적화물의 물류 또는 가공.조립 기지를 부산항에 두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해양부는 항만 물류단지에 입주하는 물류.제조기업에는 관세.부가가치세를 면제하고, 5백만달러 이상 투자하면 이익 발생 시점부터 7년(2005년부터는 3년)간 법인세를 면제하고 이후 3년(〃 2년)간 50% 감면하는 혜택도 줄 계획이다. 컨테이너 하나를 들여와 가공.조립하면 개당 4백~6백달러의 부가가치를 만들고 관련 고용을 창출할 수 있다.

정재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