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농촌소멸 전주곡…농가 100만 무너지고, 노인 비율 50% 넘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21년 10월 20일 부산 강서구 강동동 논에서 이재림(75)씨가 벼를 수확하고 있다. 중앙포토

2021년 10월 20일 부산 강서구 강동동 논에서 이재림(75)씨가 벼를 수확하고 있다. 중앙포토

‘농촌 소멸’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농가 수가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졌고, 노인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1일 현재 농가 수는 99만9000가구로 전년(102만3000가구) 대비 2.3% 감소했다. 100만 가구가 붕괴한 건 관련 조사를 시작한 1949년 이래 처음이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 중 농가 비율은 4.8%에서 4.6%로 줄었다. 농가 인구는 216만6000명에서 208만9000명으로 축소했고, 전체 인구 중 농가 인구 비율은 4.2%에서 4.0%로 내려갔다.

이런 농가 규모 축소세는 10년 이상 이어져오고 있다. 그 이유로 통계청은 “고령에 따라 농업을 포기하거나 다른 직업으로 업종 변경을 한 가구가 많았던 탓이 크다”고 분석했다.

농가가 줄어들면서 논과 밭 면적도 감소세다. 지난해 전국 경지면적은 151만2145㏊로 전년(152만8237㏊)보다 1.1% 낮아졌다. 1년 사이 축구장(0.71㏊) 2만2500개가량과 비슷한 면적의 경지가 사라진 것이다. 사라진 경지 자리는 상업시설 등으로 채워져 도시화가 된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농가 축소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농가 고령화가 심화하고 있어서다. 지난해 12월1일 농가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52.6%로 전년(49.8%)보다 2.8%포인트 늘었다. 해당 비율이 과반수가 된 것 역시 처음이다. 국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이 18.2%라는 점을 고려하면 농가의 고령화 문제는 더욱 두드러진다. 국내 전체 인구 구조가 ‘항아리형’ 인구 구조로 접어든 가운데, 농촌 인구 구조는 더 심각한 ‘역(逆)피라미드형’이 된 것이다.

젊은층이 지방의 농촌을 떠나 수도권 도시로 이동하는 트렌드 탓에 농가에 노부부만 남는 경우가 늘고 있기도 하다. 지난해 12월1일 현재 농가의 1~2인 가구 수 비율은 80.1%로 전년(79.2%)보다 0.9%포인트 올라갔다. 이는 ‘지방 소멸’ 문제로 번진다.

김한호 서울대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는 “농업은 식량 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야 한다”며 “농가 수와 인구 수 감소를 막을 수 없다면 기계화 등 생산성을 제고하는 노력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농가와 마찬가지로 어가와 임가도 축소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12월1일 어가 수는 4만1800가구로 전년(4만2500가구) 대비 1.8% 줄었고, 같은 기간 어가 인구는 9만800명에서 8만7100명으로 감소했다. 어가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비율은 44.2%에서 48.0%로 상승했다. 임가 수는 10만600명에서 9만9200명으로, 임가 인구는 21만100명에서 20만4300명으로 역성장했다. 임가 인구 중 고령 인구 비율은 48.8%에서 52.8%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