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산업혁명 시대라는데 농업인구가 늘어난다, 왜?
농‧어업 종사자가 늘어나고 있다. 제조‧건설업이나 서비스업 등과 비교해도 증가세가 더 가파르다. 정보기술(IT) 등 산업은 고도화됐는데 1차 산업이라는 농‧어업 종사자가 되레 증
-
뛰는 이자, 나는 물가…사상 첫 2년 연속 실질금리 마이너스
60대 주부 A씨는 지난해 하반기 한 시중은행의 연 5% 정기예금에 1억 원을 맡겼다. 세전 이자 500만 원이면 한 달에 약 42만 원씩 생활비 부담이 줄어들 거라고 기대했다.
-
이자 뛰고 물가 날았다...실질금리 사상 첫 2년째 마이너스
6일 서울시내 한 은행 외부전광판에 예금금리를 안내하고 있다. 이날 한국은행 및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저축성 수신금리(2.77%)에서 물가 상승률(5.1%)을 뺀 실질금리는 -
-
[세컷칼럼] 폐플라스틱서 짜낸 기름… 에너지·기후 두 마리 토끼 잡기
. . ━ 속도 내는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역대급 한파가 엄습했다. 혹한에 따른 ‘역대급 전력 사용’과 가정에 전달된 ‘역대급 난방비’ 고지서는 국민의 냉가슴을 때렸다
-
전기·가스 등 연료물가 1년새 32% 올랐다…외환위기 이후 최고
전기·가스·난방비 등 연료 물가가 1년 새 30% 넘게 상승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지난달 26일 서울 시내 한 주택가에 설치된 가스 계량기의 모습. 뉴스1
-
[이번 주 리뷰] 고물가·수출감소·어닝쇼크에 불안한 국민연금까지(1월30일~4일)
2월 첫째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국민연금 #택시요금 #유치원ㆍ어린이집 통합 #이재명 #미분양 #삼성전자 어닝쇼크 #국민의힘 전당대회 #IMF 세계경제성장률 #북한 #송중기 #
-
나경원 자택 찾은 김기현 "尹정부 위해 '김나연대' 제안한다"
김기현(왼쪽) 국민의힘 의원과 나경원 전 의원. 중앙포토 오는 3·8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 주자인 김기현 의원이 전날(3일) 나경원 전 의원의 자택을 찾아 도움을
-
행안부 20만, 통계청은 10만 감소...정부 기관마다 다른 통계 왜?
“2021년보다 19만9771명 줄었다” 행정안전부(행안부)가 지난달 15일 “3년 연속 한국 인구가 감소했다”며 밝힌 수치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 한국 주
-
주 15시간 미만 ‘쪼개기 알바’ 158만명 최대…주휴수당·퇴직금·유급휴가 없어 고용주 선호
━ 초단시간 고용 확산 지난 15일 서울 시내 한 상점에 붙어있는 아르바이트 모집 공고. 지난해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근로자’는 157만7000명으로
-
미 연준 금리 인하 선 그었지만, 시장선 연내 ‘피벗’에 베팅
━ 중앙은행·시장 줄다리기 “최근 미국의 경제상황과 정책금리에 대한 연방준비제도와 금융시장 참가자 사이의 시각차가 부각되고 있는데, 인플레이션 관리를 위한 연준의 의도적인
-
휴엠앤씨, 미디어 콘텐트 자회사 매각...헬스케어 부자재 사업 집중
휴온스그룹 휴엠앤씨가 자회사 블러썸픽쳐스와 블러썸스토리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휴엠앤씨는 지난 1일 이사회를 열고 자회사 블러썸픽쳐스와 블러썸스토리 지분 100%를 매각하는
-
유승민·추경호의 힌트...'통계의혹 조사' 감사원이 주목한 그날
2019년 11월 5일 당시 강신욱 통계청장이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당시 야당이던 바른미래당과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의원들은 강
-
홍준표 "70세부터 지하철 공짜"…일부선 "노인 기준도 올리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쏘아올린 지하철 무임승차 손실 논란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대구시가 무임승차 연령을 65세에서 70세로 올리겠다고 발표하고 나서면서 관련 논의가 더
-
한국 물가 여전히 상승세
━ 한국, 1월 소비자물가 5.2% 올라 물가가 급등하면서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이 오르자 서울시내 전통시장 분식집에서도 1일부터 가격을 인상했다. [뉴스1] 다소 진정되
-
“코로나 끝났다, 우리 결혼하자”…프리미엄 웨딩 늘었다
엔데믹 이후 프리미엄 웨딩 트렌드가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호텔 예식장이 조기 마감되는가 하면, 고가 예물 ‘오픈런’도 늘었다. 업계는 웨딩 멤버십 행사를 늘리는 등 신혼부부
-
결혼 안 해도 괜찮아…1억 훌쩍 넘는 특급호텔 예약 꽉 찼다
엔데믹 이후 프리미엄 웨딩 트렌드가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호텔 예식장이 조기 마감되는가 하면, 고가 예물 ‘오픈런’도 늘었다. 업계는 웨딩 멤버십 행사를 늘리는 등 ‘부자
-
한은 어쩌나…물가 뛰고 한미 금리차 벌어지는데 경기는 침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새해 첫 통화정책방향회의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이달 23일 금융통화위원회
-
연초부터 물가 5.2%↑ ‘꿈틀’…전기·가스·수도료 줄인상 ‘빨간 불’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다소 진정하는가 싶던 물가가 연초 다시 튀어 올랐다. 전기·가스·수도요금이 다락같이 오르면서다. 한국은행은 “예상에 부합한
-
"인구 계속 줄면, 2050~2060년 평균 경제성장률 0.9% 전망"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증권가 일대가 불을 환하게 밝히고 있다. 뉴스1 저출산·고령화로 인구가 계속 줄어들 경우, 2050∼2060년에는 한국경제 성장률이 연평균 0.9%까지
-
[속보] 1월 소비자물가 5.2% 올라…3개월만에 상승 폭 확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의 생필품 코너에서 물건을 고르는 시민의 모습. 뉴스1 새해 첫 달 물가가 5% 넘게 오르며 3개월 만에 전월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2일 통계청이
-
[트랜D] 자리에서 주문과 결제까지, 태블릿 주문 시대가 왔다
요즘 식당에 가면 자연스럽게 눈이 가는 기기가 있습니다. 바로 태블릿 메뉴판입니다. 일반적으로 식당에 가면 직원이 와서 직접 주문을 받고 음식을 전달합니다. 최근에는 자리에 앉으
-
‘해외 직구>>>역직구’ 온라인쇼핑 무역적자 역대 최대
온라인쇼핑에서도 무역 적자가 커지고 있다. 해외 직접구매(직구)는 역대 최대로 늘었는데 이른바 역직구로 불리는 해외 직접판매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다. 이 때문에 온라인쇼핑 분야
-
중국, 러에 무기부품 팔아 지원…347일차 항전은 계속된다 [타임라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키이우 시간, 한국시간-7시간) ※2022년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일차부터 매일 업데이트 중입니다. ▶2월 5일 침공 34
-
[김원배 논설위원이 간다]성큼 다가온 농업 자동화....환경·생육 데이터 확충해야
━ '스마트팜' 어디까지 왔나' 김원배 논설위원 커다란 비닐하우스 내부로 들어가니 일렬로 늘어선 좁은 탁자 같은 것이 보였다. 작물을 수경 재배하는 베드다. 안에는 방울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