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은 "물가 안정에 중점 둔 기조 지속"…내년 금리인상 시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은행은 “내년 기준금리는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2.0%)으로 수렴해 나갈 수 있도록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둔 운용 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내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은 23일 공개한 ‘2023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 보고서에서 “국내 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소비자물가 오름세가 내년 중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같은 정책 방향을 밝혔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내년 상승률은 3%대 중반, 근원 인플레이션(식료품ㆍ에너지 제외)율은 2%대 후반을 기록할 것이라는 게 한은의 예상이다. 한은은  “공급요인의 기저 효과,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상승률이 올해보다 낮아지겠지만,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의 가격 전가(전기ㆍ가스요금, 가공식품, 근원품목 등) 등으로 내년 중에도 목표 수준 2%를 상회하는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시장에서는 미국과의 금리 격차 등을 고려해 한국은행이 내년 1월 기준금리를 3.25%에서 3.5%로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0일 “(최종) 기준금리 3.5%는 (물가 상황 등) 전제가 바뀌면 달라질 수 있다”며 금리가 더 올라갈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경제 성장과 관련해서는 “상반기까지 글로벌 경기 둔화에 주로 기인해 잠재 수준을 하회하는 성장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소비 회복세는 금리 상승 등으로 점차 완만해지고 수출과 투자는 주요국 성장세 둔화 등의 영향으로 부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 금융ㆍ외환 시장도 큰 변동성으로 불안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우려됐다. 한은은 “자본 유출입과 주요 가격 변수의 높은 변동성이 상당 기간 지속할 것”이라며 “부동산 경기 둔화 폭이 예상보다 커질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등 관련 자금시장 불안이 다시 심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내년 1분기까지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민생 경제를 회복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열린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내년 상반기에 경제와 민생의 어려움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1분기까지 금융시장 안정과 부동산 시장 연착륙 등 거시경제 관리와 물가 안정, 일자리ㆍ안전망 확대 등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과제에 최대한 집중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어 “수출 활성화와 신성장 4.0 등 민간 활력을 제고하고 노동과 교육, 연금 등 3대 구조개혁, 금융과 서비스, 공공 등 3대 경제혁신도 차질없이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수출 전망에 대해선 산업연구원의 보고서를 인용해 글로벌 수요 위축, 수출 단가 하락 등 영향으로 반도체와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등 소재ㆍ정보기술(IT) 산업군을 중심으로 약세를 전망했다. 정부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 반영된 과제를 추진해 수출 우려 요인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