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600년에 한번 오는 '황금돼지해'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오는 2007년은 600년만에 돌아오는 '황금돼지해'라는 속설이 사이버 공간에서 급속히 퍼지고 있다.

2007년은 '정해년'(丁亥年)이다. 12년에 한번 꼴로 돌아오는 돼지해는 다른 해에 비해 복이 많은 해로 알려져 있다. 명리학에서는 십간(十干) 중 '정'(丁)이 '불'의 기운을 상징해 '물'을 상징하는 돼지(亥)와 어우러져 정해년에 태어나는 아기는 조화롭게 흥하는 운세를 지니고 태어난다고 보고 있다. 또 불의 기운을 담아 정해년을 '붉은돼지해'라고 부르는데 붉은돼지는 돼지 중에서도 최고로 치기 때문에 다른 돼지해보다 복이 많다고 전해지고 있다. 정해년은 60년에 한번 돌아온다.

그런데 오는 2007년이 일반 돼지가 아닌 '황금돼지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황금돼지해에 태어난 아기들은 특별히 재복이 많고 편안하게 인생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황금돼지해는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에 음양과 오행을 더 더해 따지기 때문에 무려 600년 만에 한 번꼴로 돌아온다고 한다. 각종 언론들도 황금돼지해를 맞아 출산붐이 일고 있다는 기사를 앞다퉈 보도하고 있다. 쌍춘년 결혼업계 특수에 이어 황금돼지해를 맞는 임신육아업계에서는 벌써부터 이벤트를 내놓는 등 들뜬 모습이다.

반면 역술 전문가들은 저급한 상업 마케팅일 뿐이라고 일축한다.

중앙일보에 '오늘의 운세'를 연재하고 있는 역술가 조규문 씨는 "명리학에서 황금돼지해라는 것은 없다"며 "민간에 떠도는 황금돼지해에 관한 속설은 민속신앙에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모두 잘못된 정보"라고 말했다. 조 씨는 "2 ̄3년에 한번씩 돌아오는 쌍춘년을 대단한 듯 포장했던 전례처럼 황금돼지해 역시 상업에 이용하려고 누군가가 만들어낸 것일 수 있다"고 했다.

한국역술인협회 백운산 회장 역시 같은 의견이다. 백 회장은 "정해년이 운이 흥하는 해로 알려져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정해년에 태어난 사람들 중 중전이 많고 국회의원이나 장관들도 많다"고 말했다. 실제로 영부인 권양숙 여사와 김근태 열린우리당의장.손학규 전 경기도지사.김진표 전 교육부총리 등이 정해년생 인사들이다. 하지만 백회장은 이것은 통계일 뿐 역학적으로 '황금돼지해'라는 것은 없다고 잘라말했다.

황금돼지해 보도를 접하는 네티즌들의 반응도 부정적이다. 네티즌들은 "쌍춘년이 2 ̄3년만에 한번씩 돌아오는 흔한 것인데 몇몇 신문과 방송에서는 아직도 쌍춘년 타령 중"이라고 지적했다.

김윤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