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갈등 이후 EU는 외국인 투자 수혜…한국엔 부정적 영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럽연합(EU) 국기. 로이터=연합뉴스

유럽연합(EU) 국기. 로이터=연합뉴스

미·중 갈등 이후 유럽연합(EU)이 외국인 투자에서 수혜를 입었지만 한국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최근 글로벌 외국인직접투자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이후 전 세계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감소 추세를 보이며, 지난해까지 신고액 기준으로 최고 증가세를 보인 한국 FDI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특히 외국 자본이 투자 대상국의 토지를 직접 매입해 해당 국가에 공장을 짓는 방식인 그린필드(Greenfield) FDI 1위는 EU인 것으로 나타났다. EU가 미·중 갈등 이후 공급망 재편의 수혜를 입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중 무역전쟁(2018년 3월)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3년간 그린필드 FDI 평균과 이후 3년간의 평균을 비교해보면 EU의 증가율은 47.0%로 1위였다. 이어 중국(13.5%), 일본(12.1%), 미국(5.7%) 등의 순이었다.

반면 한국은 3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세계 평균(5.6%)에 크게 못 미쳤다. 인도(-28.7%), 아세안(-12.3%)도 하락세를 보였다.

이문형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는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을 통해 공급망 재편과 산업경쟁력 제고를 추진하고 있다"며 "최근 인텔이나 SK그룹의 투자 사례에서 보듯 세계 주요 기업이 상대적으로 미·중 갈등에 영향을 덜 받는 EU나 선진국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지난 8년간(2013년~2020년) FDI 수익(유보이익) 재투자율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8년간 평균 24.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5.0%) 이하였다.

미·중 갈등 전후 3년간 재투자율 평균을 비교해보면 OECD는 36.5%에서 40.3%로 3.8%p(포인트) 상승했으나, 한국은 44.8%에서 32.1%로 10%p 넘게 줄었다. 같은 기간 미국은 4.7%p, 독일은 4.4%p 늘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