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악몽…"안될 일" 일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중국과 동남아 각국은「군국주의 일본」의 부활에 대한 경종을 울리면서 우려하는 시선으로 이를 지켜보고 있다.
특히 중국은 1개월 여에 걸쳐 다각적으로 대일 경고를 거듭해 오고 있다.
중국의 첫 공식 반응이 나온 것은 지난달 22일. 당 총서기 강쩌민(강택민) 이 방중한 다케시타 전일 총리에게 일본 자위대의 해외파견이 거론되고 있는데 대해 우려를 표시한 것이다.
당시 강택민은 회견의 말미에서 잊은 것을 덧붙이듯『과거의 불행한 시기에 대해 우리 세대는 다음 세대에게 올바르게 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강택민의 반응이 있은 뒤 거의 한 달이 경과한 지난 18일 중국 정부는 외교부 대변인을 통해 다시 일본의 유엔평화 협력 법안 제정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는데 우려를 표시하고『일본정부의 신중한 대처』를 요구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20일 외교부 관리의 말을 인용, 일본이 유엔평화 협력 법안을 제정하려는 핵심목표가『전후 45년이래 금기시 되어온 해외파병의 돌파구를 열려는 것』에 있다고 요약했다.
한편 대만 입법원 의원들은 지난 18일『일본이 해외파견 목적을 이룬다면 일본의 침략으로 깊은 피해를 보았던 중국인들은 결코 좌 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결의를 보였다.
다른 동남아 국가들도『일본은 페르시아만 사태 해결에 거대한 경제력을 이용해야 한다』 (필리핀 마닐라 크로니컬 지·18일자),『일본은 자위대의 해외파견과 관련하여 동남아 제국과 먼저 협의를 가졌어야 했다』(타일랜드 더 내이션 지·l7일자)등 원칙론을 내세우며 비판적 논평을 내놓고 있다.
또 싱가포르 연합조보는『중동위기를 이용, 일본 정부가 해외파병의 길을 열려고 하는 사실에 대해 아시아의 각 국민은 일본의 본성이 옛날과 달라지지 않았다는 강한 불안을 느끼고 있다』고 말하고『만일 일본이 이 지역에 직접 들어온다면 일본으로서는 돌이킬 수 없는 새로운 대일 불신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홍콩=전택원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