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접종시 중증화율, 3차 접종 보다 14배 높아…방역패스 효과”

중앙일보

입력

11일 서울의 대형마트에서 한 어르신이 입장하며 스마트폰으로 방역패스 앱을 찾고 있다. 뉴스1

11일 서울의 대형마트에서 한 어르신이 입장하며 스마트폰으로 방역패스 앱을 찾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의 중증화율이 3차 접종자보다 14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4월 3일부터 올해 1월 1일까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53만1781명의 중증화율을 분석한 결과, 미접종 확진자의 중증화율은 4.50%을 기록했다. 2차 접종 후 확진자는 0.91%, 3차 접종 후 확진자는 0.32%였다.

미접종 확진자의 중증화율이 2차 접종자보다는 약 5배, 3차 접종자보다는 약 14배 더 높은 셈이다.

또 최근 8주간(2021.11.7∼2022.1.1) 만 12세 이상 확진자의 약 30%, 위중증·사망자의 절반 이상은 미접종자 또는 접종 미완료자로 나타났다.

이 기간 발생한 확진자 22만1771명 중 미접종자와 1차 접종만 마친 접종 미완료자는 29.0%(6만4131명)다.

위중증 환자는 54.0%(3835명 중 2071명), 사망자는 53.9%(2123명 중 1143명)가 미접종자 또는 1차 접종 완료자로 조사됐다.

정부는 이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방역패스는 감염 가능성이 높은 미접종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유행을 억제하고, 의료대응 여력을 확보하면서 민생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대신하는 중요한 방역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방역패스의 실효성에 관한 질문에 ”방역패스만으로 절대적인 (유행 감소) 결과가 나타난 것은 아니지만, 방역패스의 효과 역시 무시할 수 없다고 본다“면서 ”이스라엘이나 덴마크에서도 확진자 추이를 보면서 방역패스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방역패스를 상호보완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향후 상황에 따라
적용 대상 축소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반장은 ”방역패스는 접종자의 사회·경제적 활동을 최대한 보장하고, 미접종자 중에서도 예외 사례를 인정해 최대한 많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인권침해 등의 문제로 방역패스 적용을 완화하면 피해가 더 큰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방법밖에는 선택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여전히 예외 인정 사유가 너무 협소하다는 지적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