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스·버스·철도 요금도 들썩…물가 9년 만에 최고로 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연말 물가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전기요금, 우윳값 인상에 이어 도시가스·대중교통 같은 공공요금의 ‘도미노’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8월까지 5개월 연속 전년 대비 2%대 상승률을 유지중이다. 체감물가는 이보다 더 크게 뛰었다. 구매 빈도가 높은 품목 141개로 조사하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달 3.4% 상승해 소비자 물가보다 상승세가 가팔랐다.

수출입물가지수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통계청]

수출입물가지수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통계청]

걱정은 그간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작아 전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역할을 해온 전기·수도·가스·공공서비스 등 다른 품목의 가격이 일제히 들썩이고 있다는 점이다.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급속히 오른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공공기관에 누적된 손실이 한계상황까지 내몰리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우선 정부 내에선 도시가스 인상 논의가 검토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에 따르면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도매요금의 약 80%를 차지하는 원료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주택용 도시가스 요금을 11.2%, 일반용 요금을 12.7% 인하한 이후 15개월째 가격을 동결해왔다. 하지만 동북아 지역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지표인 JKM은 지난해 7월 말 100만BTU(열량단위) 당 2.56달러에서 이달 24일 27.49달러로 10배 넘게 급등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11월에는 도시가스 요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요구를 기획재정부에 이미 전달했다”면서 “원료인 LNG 가격이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어 더는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추이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소비자물가 추이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철도 요금 역시 인상 압박이 커지고 있다. 만성 적자에 시달리는 한국철도공사는 정부의 2021~2025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서 “철도 운임에 대한 현실화 검토가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철도요금은 2011년에 평균 2.93% 오른 후 10년간 동결됐다.

도로공사도 고속도로 통행료 인상을 정부에 건의하겠다는 입장이다. 통행료는 연간 4조원 수준에서 정체된 데 반해, 감면해주는 통행료는 점증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통행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어서다. 고속도로 통행료는 2015년 4.7% 인상한 이후 6년째 동결되고 있다.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 상하수도 요금 등 지방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 대기’ 중이다. 대중교통 요금의 경우 서울·대전·인천·울산 등에서 5~6년째 요금이 동결상태다. 여기에 상하수도 요금, 쓰레기 종량제 봉투 가격 등도 인상 요인이 쌓여있다.

전기 요금 인상.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전기 요금 인상.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이 경우 전년 대비 가격 인상 폭이 8월 0.1%였던 전기·수도·가스와  -0.7%였던 공공서비스가 연말에는 상승 폭을 키울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전기료·우윳값 인상이 다른 품목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재난지원금 등의 소비 효과가 더해지면 전체적인 물가 상승세는 예상보다 더 거세질 전망이다.

정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8%였다. 하지만 올해 1~8월 누계 기준 상승률은 이미 2.0%다. 연간 상승률이 2% 아래로 내려가려면 올해 9~12월 매달 2%를 밑돌아야 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위기다. 이 경우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012년(2.2%) 이후 9년 만에 2%대로 올라서게 된다. 정부가 원자재·곡물 가격 등 ‘외부 요인’과 시중 유동성이 넘쳐나는 점을 간과해 적기 대응의 기회를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중앙선데이 9월18일 3면〉

관련기사

한국은행은 지난달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8%에서 2.1%로 올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아시아개발은행(ADB)도 1.8%에서 각각 2.2%와 2.0%로 올렸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올해 4분기 물가 상승률도 2%대가 될 가능성이 크고, 연간으론 2%를 넘어가는 것이 유력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