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노벨물리학상 미국 매더·스무트 박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우주의 정밀한 온도 분포 지도를 만든 미국의 '코비(COBE)'프로젝트의 책임 연구원들에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 한림원 노벨물리학상 수상위원회는 코비 프로젝트의 책임연구자인 미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센터 존 C 매더(60)와 UC버클리대 조지 F 스무트(61) 박사 두 과학자에 돌아갔다고 3일 밝혔다. 이들의 발견은 '빅뱅' 우주 이론에 의한 우주의 기원과 은하의 형성 등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로 평가됐다. 코비(COsmic Background Explorer) 프로젝트에는 1000여 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했으며, 두 과학자들은 이들을 대표해 상을 받게 됐다.

매더와 스무트 박사는 1989년 발사한 코비 우주관측 위성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해 우주의 어느 방향을 보든지 일정한 형태의 극초단파가 날아온다는 것과 우주의 온도가 균일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가설로만 존재하던 비(非)균질한 우주의 온도 분포를 지도로 작성할 수 있게 됐다.

우주의 온도 분포는 코비 연구 이전까지는 영하 270도로 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팬지아스와 윌슨 박사는 이런 온도 분포를 알아내 노벨 물리학상을 타기도 했다. 그러나 우주의 온도 분포가 일정하면 은하나 별 등 빅뱅 이후 천체가 생기기 어렵다는 의문이 계속 꼬리를 물었다. 이에 따라 우주의 온도가 곳에 따라 다를 것이란 가설도 나타났다.

스무트 박사는 코비 위성 관측 결과 우주를 지구본 모양으로 가정할 때 적도 부근의 온도가 약간 높게, 남극과 북극 쪽에선 더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온도가 차가운 곳에는 외계 은하 등 수많은 은하가 더 많이 존재하며, 온도가 높은 곳에는 상대적으로 천체의 형성이 적었다. 결국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은하와 천체 등이 생길 수 있다는 가설과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단서를 찾은 것이다.

두 과학자에게는 1000만 스웨덴 크로네(약 140만 달러)의 상금이 절반씩 수여된다.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박방주.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