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의 영어환경 만들기 "다양한 책 많이 읽어야"

중앙일보

입력

영어권 국가에서 학교생활을 한다는 것만으로 자녀의 영어실력이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유학을 오는 학부모들이 적지않다. 하지만 이런 믿음은 무계획적 방과 후 수업, 학생의 영어 실력에 대한 착시 현상을 야기해 유학의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의 부재로 이어질 수 있다.

◆유학 목표 기대치
유학 목표의 기대치를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학생의 학습 형태는 모습을 크게 달리한다. 학부모의 기대치가 영어의 경우 일상적 생활 회화나 듣기 정도다. 또 다양한 문화·사회 체험을 통해 국제적인 마인드를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부모가 갖는 기대치는 심도 있는 주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이고 자신감 있게 피력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는 객관적인 평가 점수(IBT TOEFL 등)로 나타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유학생이 학원이나 개인교사의 형태로 방과 후 수업을 하고 있다.

◆교육 주체-누가 가르치나
개인교사 또는 학원에서 수업을 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는 학생의 개별적 성향보다는 유학의 목표 기대치를 고려한 최선의 선택이 돼야 한다. 특히 국제중·특목고·국제고 등의 학교 입학을 원하는 학생의 경우 전반적인 영어 향상 뿐 아니라 입학에 유리한 성적(토플 등)을 달성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과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학습 내용-무엇을 배우나
유학의 기본 명제는 한국에서 충분한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듣기·말하기·쓰기의 철저한 학습을 위한 최적의 영어 환경을 만들어 주는 데 있다. 따라서 학습 내용도 이 부분을 향상할 수 있는 커리큘럼으로 되어야 한다. 많은 소설과 사회·인문과학·자연과학 등의 다양한 책을 읽어 독해 능력을 길러야 한다.

사회와 과학 과목에 너무 많이 집중하는 학부모들이 있다. 기본적으로 이들 과목은 영어 능력을 보기보다는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 습득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유학 전 또는 초기에 학교생활의 원활한 적응을 위한 사전 교육 정도면 충분하다.

◆교수 방법-어떻게 가르치는가
정기적으로 학습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계획을 세울 수 있는 피드백은 모든 공부에 해당하지만 특히 영어 발전속도가 매우 빠른 유학생들에게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월말 평가 및 숙제 확인, 수업 태도 등을 통해 학생의 취약부분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전략(학습방법 및 교재 등)을 세워야 하며, 그 시행 과정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양석완 이지외국어학원 Epic Canada 원장(www.egcanada.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