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대신 협상통해 실익얻자/전노협 노선 수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주택ㆍ임금ㆍ근로조건 치중/5월1일 노동절 정상근무키로/3차 중앙위서 “온건노선” 결정
노사문제의 「태풍의 눈」으로 지목되어온 전노협이 임금교섭ㆍ5월노동절 대책 등에 있어 「투쟁」위주의 강경노선을 버리고 대화와 협상을 중시하는 온건노선으로 선회,주목되고있다.
전노협은 28∼29일 부산에서 제3차 중앙위원회를 열고 상반기활동계획을 논의,『정부가 인정하지 않는 5월1일 노동절에 전국적인 부분파업과 가두행진ㆍ동시다발집회 등을 갖자』는 산하 일부지역 노협의 제안을 받아들이지않고 「정상근무」를 하고 오후7시 노총과 연대해 지역별로 문화행사 등 기념식만을 갖기로 했다.
전노협은 아울러 임금교섭에 있어 「23ㆍ3%인상」목표 달성을 추진하되 결렬시 파업을 단행하기보다 노사대화를 통해 2만∼3만원의 주택수당신설ㆍ사원주택건립ㆍ물가­임금연동제 등의 요구사항을 다각도로 협의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중앙위는 이날회의에서 또 『정부의 노동운동탄압에 강력히 대처하기위해 전국 노동자대표대회 및 전노협대의원대회를 소집하자』는 일부 노조의 제안도 채택하지 않았다.
전노협의 이같은 정책변화는 노조운동이 어느정도 정착단계에 접어든만큼 실속없는 전면전 등 투쟁일변도의 대응보다 실질투쟁 등 탄력적 대처로 국민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내부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노협은 이에앞서 23일 서울에서 열린 제2차중앙위에서도 『단병호위원장 구속ㆍ노동부의 업무조사를 규탄하기위해 전국 노동자대표들이 무기한 단식농성을 벌이자』는 일부 노조의 주장을 『대중참여가 힘들고 임투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배제했다.
전노협의 한 관계자는 『임금은 다소 양보하더라도 주택ㆍ물가상승에 따른 실질임금보장 등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며 『일부사업장에서는 경영자측이 우리의 이같은 요구에 호응,주택조합결성을 제의하는 등 바람직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중앙위는 일단 교섭이 결렬되는 사업장은 공동으로 법절차에 따라 4월13∼20일 사이에 쟁의발생신고를 하고 5월1일 쟁의에 돌입한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올해 임금교섭은 작년ㆍ재작년과 같은 심각한 대립양상은 보이지 않을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대위원장직무대행(34ㆍ청계 피복노조위원장)은 『노동운동탄압이 계속되더라도 투쟁일변도의 대처보다 우리측 요구의 정당성을 국민이 공감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다각적인 노력을 펴자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