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월10일 「근로자의 날」/노총 5월1일 「노동절」 부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산하 노조에 “강행” 지시 노총/“투쟁적 행사 불만 요인” 정부/법개정안 보류… 휴무등 혼선
1주일 앞으로 다가온 3월10일 근로자의 날 휴무 등 행사를 놓고 정부와 노총이 팽팽히 맞서 일선 근로자들이 혼선을 빚고있다.
노총은 현행 3월10일 근로자의 날은 지난 57년 자유당정부의 강요로 변경된 날짜인 만큼 민주화시대를 맞아 원래의 5월1일 노동절(메이데이)을 올해부터 부활시키겠다고 선언했으나 정부가 여기에 강한 거부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노총(위원장 박종근)은 『1천만 근로자의 최대명절을 되찾겠다』며 3월10일은 휴무도 하지않고 5월1일 전조합원이 휴무를 강행하고 서울 및 각지방에서 기념행사를 갖겠다고 밝히고 있다.
정부측은 그러나 3월10일을 유급휴일로 하는 「근로자의 날에 관한 법」(63년4월17일 제정)이 살아있는 만큼 5월1일 행사는 받아들일 수 없으며 정부주최로 3월10일 모범 근로자 훈ㆍ포상 및 산업시찰 등 행사를 예년처럼 갖겠다고 맞서고 있다.
지난해 2월의 89년 대의원대회에서 노동절 부활을 처음 결의했던 노총은 같은해 9월 국회에 노동절로 바꾸는 법개정안을 냈으나 통과가 보류되자 이번 임시국회에서 통과하지 않더라도 5월1일 행사를 강행키로 결정했다.
이로인해 3월10일(토)이 휴무일인지에 대해 일선노조에서 혼선이 빚어지자 노총은 지난달 28일 산하노조에 『사업장별로 노사협상을 통해 3월10일의 유급휴일을 5월1일로 대체하라』고 긴급 지시 했다.
노총측은 『대만ㆍ유럽 등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5월1일에 노동절행사를 하고있으나 우리와 미국ㆍ만주 등 극소수 국가만 다른 날에 행사를 하고 있다』며 『특히 우리의 경우 정치권력에 의해 강요됐던 것인만큼 노동운동의 자주성을 회복한다는 상징적 뜻에서 5월1일 행사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부측은 그러나 ▲메이데이는 주로 사회주의국가에서 하는 투쟁적 행사며 ▲5월1일 법의 날과 겹치고 ▲봄철 임금협상시기와 중복돼 불안요인이 가중된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노동부는 1억여원의 행사보조금도 지급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5월1일 연세대에서 기념집회를 강행했던 전노협 역시 일요일인 4월29일에 노동절대회를 계획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메이데이는 1889년5월1일 미국에서 벌어진 하루 8시간 노동쟁취 파업시위를 기념하는 행사로 구민정당은 지난해 행사날짜 변경을 수용하겠다고 밝혔으나 민자당출범을 전후해 거부쪽으로 방향을 바꿨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