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기준 농도서 총량규제로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90년대 환경보전시책의 올바른 수행을 위해 정부와 기업은 물론 국민들도 환경보호의 파수꾼역할을 담당해야 할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환경 과학연구협의회가 최근 주최한 특별강연에서 김형철 환경처기획관리장은 이같이 주장하고 90년대환경보전시책으로 ▲지구차원의 환경보전협력 ▲인접국가간협력 ▲환경과학기술·정책개발등을 들었다.
대외적으로는 지구오존층의 파괴, 유해폐기물의 국제이동, 산성비등의 방지를 위한 국제협의를 위해 국제기구에 주재관을 상주시키는 등 대책을 마련한다는 것.
또 대내적으로는 저공해 내지 무공해 환경과학기술의 개발을 위해 투자와 연구기관을 확충시키는 방안을 모색중이라고 밝혔다.
김실장은『WHO(세계보건기구)의 보고서에 서울이 중국의「북경·천진, 멕시코시 다음으로 오염된 국제도시로 기록돼 있다』고밝히고『지난해 식수원인 한강하류에서 시안 (독극물일종) 이 검출된 것은 큰 문제로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중』 이라고 했다·
현재 국내대기오염의 주범은 전가구의 80%가 쓰는 연탄에서 나오는 아황산가스·일산화탄소·먼지, 그리고 난방용 벙커C유에서 나오는 오염물질과 디젤엔진의 매연등.
한편 국민1인당 배출하는 쓰레기량은 2㎏으로 미국0.8㎏의 2.5배가 되며 하루4만5천t의 유해산업폐기물이 배출되 전국6백여 곳의 상수원지중 대다수가 심하게 오염된 상태라는 것이다.
게다가 각 공장과 산업체에서 쏟아져 나오는 오염물질이 대기를 뒤덮고 산업폐수로 하천바닥까지 썩고 있어 현재의 오염상태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는데도 20년 이상 걸릴 것 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실장은『더이상의 오염을 막기위해 규체기준을 현재의 농도규제에서 총량규제로 바꾸고 오염경보시스팀을 개발하는 것이 90년대 주요사업』이라고 말했다.
김실장은 또『이런 환경문제는 정부노력 만으론 불가능한 만큼 기업은 환경투자가 생산비의 일부라는 기업윤리를 정립하고 국민들도 오염감시자의 주체로 파수꾼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했다.<이기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