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중국견제위해 임정 승인안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우리 나라를 비롯, 중국·소련의 한국사 학자들이 모여 고대사와 근현대사, 특히 항일독립운동사를 재조명하는 국제학술회의를 가졌다.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박영석)는 6, 7일 이틀간 국편위대회의실에서 「고대국가 형성의 제문제」와 「만주 노령지역에서의 한민족의 활동」을 주제로 제14회 한국사국제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이 학술회의에는 특히 재소고려인협회 회장이며 소역사학계의 영향력 있는 학자인 교포2세 미하일박교수(모스크바대)와 그의 제자인 유학귀교수(동), 중국 교포인 박창욱교수(연변대), 황유복교수(중앙민족대) 등 교포교수들과 중국의 석원화교수(복단대) 등이 참석했고 국내학자로는 김정배(고대)·최몽룡(서울대)·노태돈(동)·이종욱(서강대)교수 등이 주제발표를 했다.
이 가운데 석원화교수의 「중국에서의 한국독립운동과 중국 남북정부(1919∼1945년)」란 논문을 요약, 소개한다.
『중국내 한국교민의 반일투쟁은 중국인들과 목표가 일치, 서로 지원하면서 전개됐다. 중국내에서의 한국독립운동은 1919∼1931년 9.18사변까지의 1단계, 9.18사변에서 37년7.7사변까지 2단계, 그리고 8.15광복까지의 3단계로 나누어진다.
장개석정부의 한국임시정부승인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소련의 견제로 임시정부는 연합국의 승인을 얻을 수 없었다.
표면상으로는 중국과 미국내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하던 한국인들의 분열이 임정불승인의 이유였으나 사실은 중국·미국·소련 등 열강들의 이해관계가 엇갈려 장애요인으로 작용했다.
즉 소련은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한국교민을 조직, 전후 정권을 세울 준비를 하고 있었고 미국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44년 카이로선언을 기점으로 한국의 장래결정에는 중국이 배제되고 미·영·소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그 뒤 미소는 비밀협정을 맺어 38도선을 경계로 양국군대를 진주시키기로 하면서 여기서도 중국을 제외시켰다. 국민당정부가 임정을 도와 한국정통정부를 세우고자 했던 기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결국 한국은 남북으로 분단되고 말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