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여성 평균임금 "남성의 60%"|재미학자 남인숙 교수 「대륙연구강좌」서 소·중 여성생활 소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북한·소련의 여성들은 심각한 성차별을 겪고 있으나 중국여성들은 비교적 자유로운 생활을 하고 있어 사회주의 국가 간에도 차이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중앙일보와 대륙연구소·대한상의가 공동 주관하는 「목요대륙연구강좌」 제7차 강좌(2 일 오후5시·대한상의대회의실)에서 남인숙 교수(미국애리조나주립대)는 「대륙의 여성들-자본주의사회 여성과의 비교」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다음은 남교수의 발표요지.
소련여성들이 겪고 있는 성차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임금의 격차. 여성들의 평균임금은 남성임금의 60%정도에 불과하다. 여성의 일은 모두 서비스의 개념으로 받아들이기 때문.
예를 들어 소련에는 여의사가 많은데 의사의 사회 경제적 지위는 서방세계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낮다.
「동일 노동-동일 임금」으로 규정돼 있지만 여성들은 힘이 약해 55세가 정년이고 보수가 좋은 중노동을 할 수 없어 가벼운 노동이나 단순업무에 종사해야하는 실정이어서 현실적으로 무용지물인 셈.
그러나 대학인구의 52%가 여성이며 국가의 인구부양책에 따라 모성존중은 중국보다 앞서있다.
인구억제책을 쓰고 있는 중국은 한 자녀출산을 장려하면서 자녀가 어머니의 성을 따를 수도 있다. 국가차원에서 피임을 실시, 비교적 성개방풍조가 심하다. 남성들이 밥과 빨래를 하는 것은 예사로운 일이며 가정에서도 아들 선호사상이 사라져 갈 정도로 여성지위가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똑같이 일하고 돌아온 여성이지만 새벽 1시까지 남편의 바지주름을 세우기 위해 다림질을 해야할 정도로 가사노동에 시달려야 한다. 곡식배급의 20%밖에 안 되는 쌀은 남편의 도시락에 채워지며 술·담배도 여성에게는 차별적으로 금지되고 있다.
그러나 3국 모두 여성이 정치국 정위원으로 있는 곳이 없어 권력 상층부에는 여성이 참여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홍은희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