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결혼 역대 최대 폭 감소…인구감소 시계 더 빨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인구 16개월 연속 자연감소.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인구 16개월 연속 자연감소.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2월 결혼이 역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올해는 설 연휴가 2월에 있어 혼인신고 일수가 적었던 탓도 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예비부부가 결혼 계획을 미루는 데다 결혼 자체를 꺼리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인구 자연감소는 16개월째 지속 중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월 인구동향’을 보면 2월 출생아 수는 2만1461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7%(1306명) 감소했다. 1981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2월을 기준으로 가장 적다.

월별 출생아 수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월별 출생아 수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사망자 수도 2만3774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5%(1656명) 줄었다. 그러나 여전히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아 2월 인구는 2313명 자연감소했다. 2019년 11월 이후 월별 인구는 계속 자연감소를 거듭하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의 출생아 수에 선행지표 격이라고 할 수 있는 혼인 건수도 함께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에선 대부분의 아이가 결혼한 부부에서 태어나기 때문에 현재의 결혼 감소는 미래의 출생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2월 혼인은 1만4973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6%(4130건) 급감했다. 2월 기준 역대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혼인 감소율(2월 기준) 역대 최대.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혼인 감소율(2월 기준) 역대 최대.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혼인 감소의 원인은 기본적으로 결혼을 주로 하는 30대 인구가 과거보다 적은 구조적 요인이 크다. 이에 따라 최근 연간 혼인 건수는 해마다 감소 폭을 키우고 있다. 2018년에 전년 대비 –6833건을 기록했던 혼인 건수는 2019년 –1만8463건, 2020년 –2만5657건을 찍었다.

애초에 결혼을 꺼리는 추세도 혼인 건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지난해 30대 미혼 청년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24.4%가 결혼에 대해 부정적(하고 싶지 않은 편 19.8%, 절대 하지 않을 것 4.6%) 답변을 했다. 향후 출산 의향에 대해서는 절반(53.1%)이 긍정적(꼭 낳을 것 14.8%, 낳고 싶은 편 38.3%)으로 생각했지만, 부정적(낳고 싶지 않은 편 20.3%, 절대 낳지 않을 것 11.4%)인 응답을 한 사람도 31.7%를 차지했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작년엔 설날이 1월에 있었지만, 올해는 2월에 있었던 데다 작년 2월은 올해보다 하루가 더 있어서 혼인신고가 가능한 날이 이틀 감소한 영향이 컸다”며 “그러나 주요 혼인 연령층의 감소와 코로나19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2월 이혼 건수도 혼인과 같은 이유로 전년 동월 대비 5.7%(473건) 감소했다.

세종=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