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압 때 욱신욱신 아, 기상병이었구나

중앙일보

입력

"오늘의 건강예보입니다. 오늘은 저기압 및 전선의 한반도 접근으로 인해 남풍이 강해 신경통이 도질 전망입니다. 동해로 여행을 떠나시는 분들은 대관령을 넘을 때 푄 현상으로 인해 천식이 심해질 수 있으니 마스크를 꼭 챙겨야겠습니다."

이런 건강 예보가 나올까. 실제 독일 함부르크 기상대는 매일 아침 의료기상예보를 하고 있다고 한다.

기상조건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병을 흔히 기상병(氣象病)이라고 한다. 즉, 기상이 변할 때 우리 인체의 조절기능에 변화가 생겨 일어나는 병의 총칭이다. 인체는 기상의 미세한 변화에 대해 어느 정도의 조절기능이 있지만, 변화가 클 경우에는 그 조절기능이 저하되는데 이런 상태가 지속돼 질병으로 발전하는 것이 기상병이다. 기상 변화에 따른 증상은 신경통.류머티즘, 상처 통증, 천식, 심근 경색, 담석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기상병은 저기압의 접근이나 전선, 특히 한랭전선의 통과, 푄 현상이 있을 때 잘 일어난다. 고기압 조건에서 급성심근경색 발병률이 높고, 저기압은 편두통과 관계가 깊다. 행동.수면.기분 등을 조절하는 '멜라토닌'은 일조량이 많을 때 분비가 많아지는데, 일조량이 적은 가을에 우울증 환자가 많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기상병의 원인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그중 기상 조건이 변할 때 체내에 '히스타민'과 같은 유해 단백질이 증대하여 자율신경에 작용하면 병이 발생한다는 설과, 기압이나 전선이 통과할 때 늘어난 양이온이 인체에 해를 끼친다는 설 등이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