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장기 과제 입장 많다”…TK 속도 내던 전국 1호 시·도통합 '멈칫'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9월 21일 오후 대구시청 별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한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공론화 위원들이 성공적인 '대구·경북 특별자치도' 출범을 기원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뉴스1

지난해 9월 21일 오후 대구시청 별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한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공론화 위원들이 성공적인 '대구·경북 특별자치도' 출범을 기원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뉴스1

2022년 7월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속도조절론 확산 등으로 제동이 걸렸다. 일각에서는 “사실상 행정통합이 무산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제동이 걸린 결정적 계기는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0일 실·원·국장 간부회의에서 꺼낸 발언 때문이다. 이 지사는 “행정통합 공론화위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찬성이 반대보다 높긴 하다”면서도 “하지만 통합은 찬성이 압도적으로 높아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 국회의원들도 대선 등을 앞두고 있어 행정통합 속도 조절을 주문하고 있다”며 “여론조사 결과도 중장기 과제로 추진하는 게 낫다는 입장이 다수”라고 덧붙였다. 선거 등 정치 일정을 고려해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중장기 과제로 설정, 속도조절을 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 지사는 행정통합을 대신할 카드로 ‘교통 통합’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지사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에 앞서 시·도 교통부터 통합이 필요하다”며 “미래에는 행정통합으로 가야하지만 전초전 격으로 대구·경북 교통부터 통합을 하는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현재는 대구에서 대중교통을 통해 경북으로 이동하면 환승 서비스 등을 이용하기 어렵다.

6일 경북 구미상공회의소에서 '지방자치시대, 자치경찰제의 나아갈 방향'이란 주제로 열린 경북포럼에서 이철우 경북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6일 경북 구미상공회의소에서 '지방자치시대, 자치경찰제의 나아갈 방향'이란 주제로 열린 경북포럼에서 이철우 경북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해 9월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행정통합 절차를 추진해 왔다. 행정통합 의제, 통합 행정체제, 이익 공유방안, 주민투표 시기 등을 검토하고 있으며 오는 29일 시·도지사에게 최종 의견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일까지 대구·경북 지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대구 500명·경북 5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행정통합에 찬성하는 의견이 45.9%, 반대 의견이 37.7%로 나타났다. 모른다거나 무응답은 16.4%였다.

관련기사

이는 지난 2월에 실시했던 1차 여론조사에서 찬성 40.2%, 반대 38.8%로 찬반 의견이 팽팽했던 것에 비해 찬성의견이 더 높아진 것이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은 ±3.14포인트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찬성 51.8%)에서 찬성이 가장 많았다. 30대(찬성 38.5%)의 찬성 의견이 가장 적었다. 20대(찬성 43.6%)와 40대(찬성 47.8%), 50대(찬성 44.8%), 60대(찬성 48.2%)는 40%대의 찬성으로 비슷했다.

지난달 4일 오후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경북 행정통합 권역별 대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인사말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4일 오후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경북 행정통합 권역별 대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인사말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통합 명칭에 대해서는 56.1%가 ‘대구경북특별광역시(안)’를 선호했다. 31.3%는 ‘대구경북특별자치도(안)’를 선택했다.

대구경북행정통합 추진 시점을 묻는 말에서는 63.7%가 “2022년 지방선거 이후 중장기 과제로 진행돼야 한다”고 답했다. 18.3%는 “2022년 7월에 행정통합(통합자치단체장 선출)을 이뤄야 한다”고 응답했다.

김태일·하혜수 공론화위 공동위원장은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 과정이 진행되면서 시·도민들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찬성 의견이 늘어나는 추세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대구·안동=김정석·김윤호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