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경영 대선 간다 "선관위 탓에 3위…내년엔 진가 드러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4·7 재·보궐선거를 사흘 앞둔 4일 국가혁명당 허경영 서울시장 후보가 4일 서울 강서구 발산역에서 유세차에 올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4·7 재·보궐선거를 사흘 앞둔 4일 국가혁명당 허경영 서울시장 후보가 4일 서울 강서구 발산역에서 유세차에 올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이어 3위를 차지한 허경영 국가혁명당 후보가 대선 출마 의지를 밝혔다.

8일 허 후보는 개표 결과를 두고 “나라에 돈이 없는 게 아니라 도둑이 많다는 허경영에게 예산 도둑을 잡아달라는 분노의 민심을 확인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방송 언론의 불공정한 처사로 사표(死票) 심리를 초래해 3위에 그쳤다”며 “내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허경영의 진가가 표심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허 후보는 5만2107표, 1.07% 득표율로 군소후보로는 유일하게 1%대 득표율을 기록했다. 허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연애수당 20만원 지급, 출산수당 3000만원 지급 등 파격적인 공약을 내놓았다. 지난달 방송 토론회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피해를 봤든 안 봤든 5000만원을 현금 배당하겠다”고 말해 이목을 끌었고, 자신은 무보수로 일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허 후보 측 관계자는 “허 후보는 국민에게 세계 경제 10위 국가에 알맞게 최소한의 생활고, 취업 등으로 고생하는 일 없는 중산층 경제를 보장한다는 정책을 30년 전부터 일관되게 추진해 왔다”며 “이번 서울시장 선거 결과로 허경영의 유토피아인 ‘허토피아’가 연기됐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허 후보는 지난 2009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10년간 피선거권이 박탈돼 18‧19대 대선에는 출마하지 못했다. 지난해 4‧15 총선에서는 국가혁명배당금당 비례대표로 나선 바 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