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産 코" 예쁘게 만들어 드려요

중앙일보

입력

콧날을 높인 성형 미인들은 항상 찝찝함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콧날을 만져보면 이물질이 만져지는가 하면 부작용이 나지 않을까 걱정스럽기 때문이다.

요즘 코를 높일 때 집어 넣는 인공 콧날은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 아무리 오래 놔둬도 자신의 뼈나 살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머지 않아 자신의 물렁뼈 세포를 키워 콧날을 높일 수 있는 길이 열릴 것 같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한동근 박사팀은 가톨릭대 이종원 박사, ㈜솔고바이오메디칼과 공동으로 인공 코연골을 개발했다. 이는 자신의 연골세포를 원하는 콧날 모양으로 키워 만드는 것으로 기존 코 성형수술의 부작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인공 코연골은 원하는 콧날 형태로 틀을 만든 뒤 거기에 연골세포를 씨앗처럼 파종하는 식으로 키운다. 틀은 마치 수세미같이 속이 거의 비어 있어 연골세포가 자라기 좋게 되어 있다. 틀 안은 95% 이상이 빈 공간이다. 연골세포를 여기에 집어 넣어 2개월 정도 지나면 그 속이 꽉 들어찬다.

연구팀이 개발한 틀은 몸 안에서 녹아 없어지는 수술용 봉합사 재료로 만들었다. 여기에 플라스마를 쪼여주면서 물이 잘 달라붙도록 하는 특수 물질(화학 용어로 단량체)을 틀 속 구석구석에 결합시켰다. 그래야 세포가 수세미와 같은 틀 속에 잘 달라붙어 자라기 때문이다. 플라스마는 단량체가 틀과 화학적으로 잘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의 봉합사 재료는 물이 잘 붙지 않는다. 연꽃잎처럼 물이 굴러 떨어질 정도는 아니지만 물이 재료의 표면에 잘 붙어 있기 어려운 재질이다. 이런 재료를 그대로 세포 배양틀로 사용하면 세포가 잘 자라지 못하게 된다.

한박사팀이 개발한 틀로 연골을 키워 코 성형수술에 사용하면 몇개월 뒤에는 틀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자신의 연골이 그 틀 형태대로 자리잡게 된다.

연골은 스스로 그 속에서 퇴화되고 재생되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남아 있게 돼 이물질감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게 된다. 한박사팀은 동물실험 결과 세포를 틀에 접종하자마자 생체에 삽입해도 연골세포가 아주 잘 자랐다고 밝혔다. 수술 전 시험관에서 서너주 동안 키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는 것이다.

그동안 일부에서는 피부세포나 연골세포를 키우는 틀을 동물의 살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이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면역거부 반응이 일어나기도 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 틀의 분해 속도를 조절하기 어려웠다.

현재의 연골수술은 연골을 이런 틀이 아닌 외부 시험관에서 키워 주사기로 환부에 집어 넣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무릎 관절 수술에도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국내에서도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원하는 형태로 연골을 키우기 어려워 성형수술에 응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인공 코연골 기술은 여러가지 성형 수술에 활용할 수 있다. 두개골이 쑥 들어갔거나 종양 수술 등으로 피부가 역시 들어간 곳도 복원이 가능하다. 이 기술의 상용화는 앞으로 임상시험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2~3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