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이든 전화 외교에 시진핑 맞불 놨지만, 셈법 꼬인 중국 외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시진핑

시진핑

“미·중 관계에서 중국의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 질문한 구체적인 문제는 지금 제공할 정보가 없다.”

미·중 정상 통화 다른 나라에 밀려 #‘대중 정책 리셋’ 중국 전략 틀어져

자오리젠(趙立堅) 외교부 대변인의 지난달 28일 답변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68) 중국 국가주석의 통화 계획을 묻는 외신 기자의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정보가 없다’는 짧은 답변만을 내놔 중국의 속내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지 않았다. 하지만 홍콩의 중국인권민운정보센터는 이날 “중국은 바이든·시진핑 통화가 다른 나라에 밀리는 것에 극도로 민감하다”며 “통화와 관련된 글이 인터넷 검열로 빠르게 삭제되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든은 취임 후 캐나다(22일)→멕시코·영국(23일)→프랑스(24일)→독일(25일)→북대서양조약기구(NATO)·러시아(26일)→일본(27일) 순서로 전화 외교를 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지난달 21일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과 통화했다.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아프가니스탄·한국(22일)→이스라엘(24일)→인도(27일)→유럽연합(28일)의 안보보좌관과 통화하며 바이든의 정상 외교를 돕고 있다.

관련기사

중국도 맞불을 놓고 있다. 시 주석은 라오스(21일)→도미니카공화국·국제올림픽기구(IOC)(25일)→한국·벨라루스(26일)→볼리비아(29일) 순으로 정상급 전화 외교를 했다. 포르투갈(27일)·멕시코·수리남(28일)에는 축전 외교를 곁들였다.

하지만 바이든·시진핑 통화가 미뤄지면서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전임 트럼프 정부의 중국 정책을 리셋하려던 중국의 셈법이 틀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두 정상의 통화는 전임자보다 늦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취임 열흘 뒤인 1월 30일 후진타오(胡錦濤) 주석과 통화했다. 후진타오·시진핑 정권 교체기인 2013년에는 3월 14일 시진핑 국가주석 취임 당일 저녁에 오바마 대통령과 통화가 이뤄졌다.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과는 당선인이던 2016년 11월 14일 통화했다.

‘지중파(知中派)’ 바이든은 만만디(慢慢的·천천히)다. 시 주석의 다보스포럼 연설 직후인 지난달 25일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이 중국 정책으로 ‘전략적 인내’를 언급했다. 시 주석과 통화에 급할 것 없다는 바이든의 완곡한 메시지였다. 완벽함을 도모하던 중국 외교가 바이든의 만만디 전술에 스텝이 꼬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