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 이종범 교수팀, 신개념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 플랫폼 개발

중앙일보

입력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이종범 교수 연구팀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나노분야 국제학술지인 Nano Letters(Impact factor: 11.238)에 1월 4일, ‘Rapid Diagnosis of Coronavirus by RNA-Directed RNA Transcription Using an Engineered RNA-Based Platform’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연구팀은 RNA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RNA를 transcription 시키는 효소인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가 코로나바이러스 증식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간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인간 세포 내에서 RdRP 단백질이 생성되는데 이때 RdRP 단백질을 탐지하여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팀이 제작한 RNA 플랫폼은 RdRP 단백질의 존재에 의해 RNA-directed RNA transcription이 진행되면서 그에 따른 형광 신호가 실시간으로 증가되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30분 이내에 진단할 수 있다.

이종범 교수와 한상우 대학원생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RdRP 존재 탐지를 통한 바이러스 진단은 PCR가 같은 유전자 증폭 과정 없이 시그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 감염 진단 방식”이라며 “현재의 코로나 상황 이후에도 바이러스 팬데믹 초기에 감염여부를 빠르게 판단하는 범용적 진단 플랫폼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 사업과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