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균수명 72세… OECD 30국 중 27위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을 많이 쓰는 나라면서 남아선호 현상이 심하고 여성 노동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않는 나라'.

통계청이 11일 펴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주요 통계지표'(2000년 통계 원칙, 일부 외국 1997~99년 통계 비교)에 나타난 한국의 모습이다.

먼저 1㎢에 4백73명이 모여 살고 있어 OECD국가 중 인구밀도가 가장 높다. 평균 수명이 길어져 한국인은 72.4세까지 살지만, 30개 OECD 국가 중 27위다.

일본인의 수명이 80세로 가장 높다. 평균 수명이 한국보다 짧은 곳은 멕시코(72.2세).터키(69.0세).헝가리(70.9세)등 세 나라다.

이혼율은 8위로 지난해 1천명 중 2.5쌍이 헤어졌다. 프랑스(2쌍).독일(2.3쌍)보다 높다.

여자 아이 1백명당 남자 아이수를 나타내는 출생성비는 1백10.2로 가장 높다. 뿌리깊은 남아선호 현상 때문이다. 남자 아이 10%는 결혼 적령기에 짝을 찾기 힘들 수 있다.

멕시코는 이 비율이 1백1.8로 가장 낮다.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74.4%로 10위지만, 여성은 47.4%로 21위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