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바이러스 공동조사하라

중앙일보

입력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야당 의원들이 서울시내 13개 지역 수돗물을 조사한 결과 다섯 군데에서 병원성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발표함에 따라 시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세곳은 환경부가 공인하는 조사방법인 세포배양법을 통해 바이러스가 검출됐다는 점에서 충격이 크다.

수돗물 바이러스 논란은 1997년 서울대 김상종(金相鍾) 교수가 서울.인천지역 수돗물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발표한 이후 되풀이돼왔다.

그때마다 서울시와 환경부는 金교수의 유전자 분석법이 국제적으로 공인되지 않은 조사방법이라며 총세포 배양법 조사에선 바이러스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조사방법이 뭐든 바이러스가 검출됐다면 수돗물을 마시는 시민으로선 불안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불안감을 해소해 주는 게 정부와 자치단체가 해야 할 일이다. 그럼에도 조사방법만을 탓하며 학계 주장을 일축해오다 그렇게 신뢰해온 총세포 배양법에 의해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됐으니 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번 조사에서 검출된 것으로 발표된 아데노 바이러스와 엔테로 바이러스는 각각 호흡기질환.급성 장염이나 무균성 수막염.소아마비 등의 원인 바이러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수돗물 안전은 시민건강과 직결된 문제다.

서울시와 환경부는 공동조사를 하겠다고 공언만 남발할 게 아니라 즉각 민.관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정밀조사에 나서야 한다. 또 대도시 정수장에 대해서도 철저히 점검해 노후시설 교체 등 안전대책을 세워야 한다. 서울대 조사팀 역시 실험과정을 공개해 논란의 소지를 남기지 말아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