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속도 촉진 남성피임법 개발

중앙일보

입력

난자를 향해 돌진하는 정자의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단백질이 발견됨으로써 새로운 남성불임 치료법과 남성피임법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미국 하버드대학 의과대학의 데이비드 클랩햄 박사는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은 사실을 밝히고 CatSper라고 명명된 이 단백질은 정자의 꼬리에만 있다고 말했다.

클랩햄 박사는 쥐들에 유전조작을 통해 이 단백질 결핍을 유도한 결과 정자의 꼬리운동이 현저히 약해저 결국은 난자를 뚫고 들어가지 못하고 수정이 불발되었다고 밝히고 남성불임은 정자가 제대로 헤엄을 치지 못해 난자를 뚫고 들어갈 힘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클랩햄 박사는 그러나 난자의 단단한 외피막인 투명대(透明帶)를 인공적으로 제거해 주자 이 단백질이 없는 쥐들의 정자도 난자와 수정을 이룰 수 있었다고 밝혔다.

클랩햄 박사는 이 단백질이 없는 쥐들도 정자생산이나 짝짓기 능력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클랩햄 박사는 사람에게도 이와 비슷한 단백질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 단백질의 분비를 일시적으로 차단해 정자로 부터 난자 돌파능력을 빼앗는 약을 개발하면 남성 피임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발견은 또 남성불임의 새로운 치료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클랩햄 박사는 말했다.

클랩햄 박사는 이 단백질은 특이한 종류에 속하기 때문에 이를 억제해도 체내의 다른 조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며 호르몬 성분이 들어있는 여성 피임약 보다는 부작용이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에도 정자의 난자 돌파능력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남성피임을 유도하는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정자의 머리에 있는 난자의 투명대 분해 효소 분비 단백질이 주로 연구의 표적이 되었었다.

새로 발견된 단백질은 정자에 칼슘을 주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클랩햄 박사는 말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