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평짜리 강북 아파트도 4억 훌쩍…서울서 서민 살집 구하기 힘들어졌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에서 연일 고강도 부동산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서울 내 서민들이 살만한 공간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노원구 일대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 노원구 일대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29일 KB국민은행이 작성한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7월 서울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4억 1380만원으로, 처음으로 4억원을 넘겼다.

이는 국민은행이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6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가격이다. 소형 아파트는 전용면적 40㎡ 미만을 기준으로 했다.

저가의 소형 아파트는 주로 서울 외곽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지역에 몰려있다.

서울 도심까지 출퇴근이 불편한 데다 지은 지 30년 넘는 낡고 비좁은 아파트가 대부분이지만, 이마저도 가격이 껑충 뛰었다.

준공 30년 된 도봉구 창동주공2단지 36.1㎡는 이달 4일 4억1000만원(14층)에 거래됐다. 5월 19일 3억5000만원(9층)에 거래된 이후 한 달 보름여 만에 6000만원이 올랐다.

1987년 준공한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5차 31.9㎡는 11일 6억6000만원(2층)에 실거래 신고가 이뤄져 지난달 10일 5억5000만원(2층)에 거래된 뒤 한 달여 만에 1억원 넘게 값이 뛰었다.

지은 지 33년 된 구로구 구로동 주공2단지 32.3㎡는 13일 4억7800만원(10층)에 거래돼 연초 3억8500만원(4층)에 매매된 것과 비교하면 반년 만에 1억원 가까이 집값이 올랐다.

이번 통계에서 서울 소형 아파트 평균에는 강남권 재건축 등 고가 아파트 매매가격도 반영됐다.

준공 37년이 넘어 현재 수직 증축 리모델링을 추진 중인 강남구 개포동 삼익대청 39.5㎡는 7일 11억 1000만원(7층)에 거래됐다. 강남권에서는 이처럼 10억원이 넘는 소형 아파트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전용 40∼62.8㎡ 이하인 서울의 중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도 7억 18만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7억원을 넘겼다.

지은 지 16년 된 관악구 관악푸르지오 59.5㎡는 이달 6일 7억1000만원(19층)에 팔렸다. 10여일 뒤인 18일에는 7억8800만원(6층)에 팔렸다.

준공 33년째를 맞은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3차 58.0㎡는 이달 8일 7억1000만원(10층)에 신고가로 거래됐고, 20년 된 관악구 두산아파트는 59.9㎡가 이달 9일 8억7000만원(19층)에 팔리는 등 가격이 계속 오르는 분위기다.

방 1∼2개에 작은 주방과 거실이 딸린 정도의 소형·중소형 아파트 가격마저 치솟으면서 서울에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소형 아파트값 상승 속도는 대형 아파트값 상승 속도보다도 빨랐다.

KB주택가격동향의 월간 면적별 평균 매매가격을 보면 서울의 소형 아파트값은 작년 말부터 7월까지 13.3% 올랐고, 중소형은 12.4% 상승했다. 이어 중형(62.8∼95.9㎡)은 10.0%, 중대형(95∼135㎡)은 9.4%, 대형(135㎡ 이상)은 6.2%씩 오른 것으로 나타나 소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폭이 대형아파트의 2배 이상이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연구위원은 "전체적으로 집값이 빠르게 오르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패닉바잉'(공황구매)에 나선 실수요자들이 소형 아파트라도 서둘러 매입하려 나서고, 소형 아파트에 전세를 낀 갭투자 수요까지 가세하면서 중소형 아파트값이 오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혜연 기자 shin.hyey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