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신약 개발 아직 시작단계

중앙일보

입력

지놈연구의 응용분야는 선진국과 기술격차가 크지 않은 새로운 기술시장이다.

울산대의대 송규영 교수는 "지놈연구의 핵심인 단일염기다형성(SNP)규명이 1999년부터 다국적 컨소시엄을 통해 시작됐다" 며 "우리도 틈새시장을 공략한다면 지금도 늦지 않다" 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세계적인 지놈정보의 상업화 추세에 대비하지 않으면 수확할 땅을 모두 빼앗기고 소작농 신세로 전락할 수 있다.

삼성제일병원 한인권 교수는 "유방암유전자인 BRCA를 우리가 이용할 경우 1인당 검사비용으로 특허권을 갖고 있는 미국 미리어드사에 2천7백50달러(3백50만원)를 지급해야 한다" 고 밝혔다.

어렵게 구축한 국내 유전정보의 해외 유출 방지책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연세대 의대 노성훈 교수는 "1995년부터 구축한 위암수술환자 7천여명의 암조직과 혈액 등 유전정보는 위암환자가 적은 미국 등 선진국에겐 매우 구미가 당기는 것" 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외 유명 연구기관이 국내 학자에게 논문의 공동저자로 참여토록 하면서 헐값에 유전정보를 가져가려고 시도하고 있다는 것. 이를 막기 위해 중국은 상호공개가 아닌 일방적인 자국민의 유전정보 누출은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유전정보의 상업화가 가장 빠르게 진척된 곳은 유럽의 섬나라 아이슬란드.

송규영 교수는 "아이슬란드는 지난 11세기 동안 혈통이 공간적으로 보존된 거의 유일한 국가" 라며 "디코드란 민간회사에서 주민 27만명의 유전정보를 규명해 보관 중이며 유전정보가 필요한 미국 등 선진국 회사에 판매하고 있다" 고 밝혔다.

이는 국민의 유전정보를 상용화한 유일한 사례로 이미 국민투표를 통해 통과된 사안이다.

이 점에선 우리의 잠재력도 만만치 않다. 서울대 의대 이윤성 교수는 "우리 민족은 단일혈통인 데다 족보란 고유의 가계도를 갖고 있어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는 데 아주 유리한 조건" 이라고 강조했다.

경쟁력 강화와 윤리적 토대를 확립하기 위해선 지놈연구를 총괄할 국가기관의 설립이 긴요하다.

현재 생명공학연구소와 바이오벤처, 대학이 따로 따로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

송규영 교수는 "중복투자를 막고 나눠먹기식 연구비 분배의 폐해를 막기 위해선 지놈연구를 총괄지휘할 국립유전체연구센터 설립이 시급하다" 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