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4월 일자리 48만개 실종, 통계 안잡힌 ‘그림자 실업’도 149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실업급여 신청자들이 13일 서울 중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뉴시스]

실업급여 신청자들이 13일 서울 중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뉴시스]

고용 충격을 넘어 고용 재난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지난달 일자리 47만6000개가 사라졌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이후 21년 만에 닥친 최악의 기록이다. 앞으로는 더 문제다. 4월 비경제활동인구는 83만 명 급증했다. 역대 최대다. 코로나19로 일자리가 사라지자 구직 자체를 포기한 사람이 확 늘어나면서다.

21년 만에 최악 고용감소 #청년 취업 25만명 감소 최대 타격 #코로나로 일 없어 구직 포기 급증 #일시휴직자 전년보다 113만 증가 #홍장표 “소주성 인한 실업은 미미”

통계청은 ‘4월 고용 동향’을 통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56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7만6000명이 줄었다고 13일 밝혔다. 99년 2월(-65만8000명) 이후 21년2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서비스업에선 위기 강도가 세지고, 제조업에선 일자리 감소가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달에도 숙박·음식점업(-21만2000명), 교육서비스업(-13만 명), 도소매업(-12만3000명) 취업자 수는 급감했다. 제조업 일자리도 4만4000개 감소했다.

취약층 임시·일용근로자 78만명 줄어

일자리 게시판 앞을 지나는 시민. [뉴스1]

일자리 게시판 앞을 지나는 시민. [뉴스1]

코로나19는 고용시장의 ‘약한 고리’에 더 가혹했다. 정규직에 해당하는 상용근로자 수는 지난달에 오히려 40만 명 늘었다. 반면 임시근로자(-58만7000명)와 일용근로자(-19만5000명) 수는 급감했다. 청년층은 앞 길이 막막하다. 지난달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9.3%로 전체 평균(4.2%)의 두 배를 넘었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 인원은 24만5000명으로 전체 취업자 감소 폭(47만6000명)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취업준비생 여모(26)씨는 “아르바이트라도 하려고 매일 인터넷 사이트를 들어가 보지만 새로운 구직 공고는 없고 며칠째 같은 공고, 같은 페이지 그대로다”고 말했다.

공식 취업·실업 통계에 잡히지 않는 ‘그림자 실업’까지 감안하면 드러난 수치는 빙산의 일각이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117만2000명, 실업률은 4.2%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 7만3000명, 0.2%포인트 각각 감소했다. 코로나19 위기 속 실업 통계는 오히려 개선되는 기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최근 10년간 취업자 수 증감 추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최근 10년간 취업자 수 증감 추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는 실업 통계의 맹점 탓이다. 일자리가 없다 싶어 구직 활동에 나서지 않는 사람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돼 실업 통계에 들지 않는다. 어쩔 수 없이 하던 일을 그만두고 가사·육아를 하거나 취업·진학 준비를 한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83만1000명 늘었다. 관련 통계가 변경돼 집계된 2000년 6월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비경제활동인구 안에서도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이들이 1년 전보다 43만7000명 증가했다. 역시 가장 많이 늘어난 수치다.

특히 지난달 일시 휴직자는 148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3만 명 증가했다. 6개월 이내 일시 휴직자는 통계상으론 취업자로 분류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한국판 뉴딜’의 한 축으로 ‘그린 뉴딜’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국토교통부·환경부로부터 합동보고를 받는 자리에서다. 문 대통령은 “그린 뉴딜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 수 있고, 국제사회가 그린 뉴딜에 대한 한국의 적극적 역할을 원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스마트시티, 도시 행정 스마트화 등을 예시로 들었다.

“정부 자화자찬 말고 정책 반성해야”

사상 최대 기록한 체감실업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사상 최대 기록한 체감실업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한편 대통령 직속 기구인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의 홍장표 위원장은 이날 ‘소득주도성장, 3년의 성과와 2년의 과제’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일자리 확대와 최저임금 인상, 공적이전소득 강화를 통해 가계소득과 소비가 뚜렷하게 늘고 소득분배가 개선되는 성과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홍 위원장은 “소득주도성장정책(소주성)을 통해 미·중 무역분쟁과 교역둔화 등 악화한 대외 여건 속에서도 성장률 급락을 억제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소주성의 주요 쟁점인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근로시간 감소에 일부 영향이 있었지만 일자리 수가 줄어드는 효과는 미미했다”며 “저임금 노동자를 중심으로 소득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홍 위원장은 코로나19 위기 극복 해법으로도 소주성의 강화를 제시했다. 그는 “확장 재정을 통한 고용 및 생활안정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는 소득주도성장의 재난 버전”이라고 설명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코로나19에 가려졌지만 소득주도성장은 사실상 실패한 정책”이라며 “현실에 걸맞지 않게 자화자찬할 때가 아니라 지난 정책의 과오를 성찰할 때”라고 지적했다.

세종=조현숙·하남현·임성빈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