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돋히다’는 무조건 ‘돋치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나 어젯밤에 소름 돋치게 재밌는 스릴러 영화를 봤어.” “‘돋치다’가 아니라 ‘돋히다’라고 써야지.”

두 친구가 채팅 메시지를 주고받고 있다. 이 중 바르게 알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많은 이가 ‘돋치다’가 아니라 ‘돋히다’라고 써야 하는 것 아닌가 하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바른 표현은 ‘돋치다’이다.

‘먹다’에 피동 접사 ‘-히-’를 붙여 ‘먹히다’, ‘잡다’에 ‘-히-’를 붙여 ‘잡히다’로 만드는 것처럼 ‘돋다’에 ‘-히-’를 붙여 ‘돋히다’로 써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돋다’는 피동형 표현을 만들 수 없는 자동사다.

피동이란 주체가 다른 힘에 의해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을 말한다. 즉, 무언가에 의해 그 동작을 하게 한다는 의미에 부합해야 피동 표현이 가능하다.

‘소름’을 예로 들어 보자. 소름은 내 몸에 스스로 돋아나는 것이지 남에 의해 돋아나게 되는 게 아니다. 그러므로 ‘돋히다’와 같은 피동 표현을 쓰면 안 된다. 다시 말해 ‘돋히다’는 남에 의해 내가 돋음을 당하는 것이 되는데, ‘돋다’는 언제나 스스로의 작용에 의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동 표현으로는 쓸 수 없다.

‘돋치다’는 ‘돋다’에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접사 ‘-치-’가 붙은 꼴이다. “날개가 돋다” “가시가 돋다” 등 ‘돋다’를 붙인 강조의 표현은 모두 “날개가 돋치다” “가시가 돋치다”처럼 써야 올바르다. 쉽게 말하면 ‘돋히다’는 무조건 ‘돋치다’로 고쳐 써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김현정 기자 nomadicwriter@naver.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