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부한 정서를 길러주는 음악 태교

중앙일보

입력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뇌 발달 요인 중 청각이 차지하는 부분이 무려 90%나 된다고 한다. 그만큼 음악태교는 똑똑한 아기를 만드는 데 필수 요소. 이왕이면 제대로 알고 따라해 보자.

200% 효과 만점 음악 태교

  • 클래식도 엄마가 내키지 않으면 NO!
    엄마가 듣기에 편하지 않다면 결국 아기도 마찬가지. 아무리 클래식 음악이 좋다고 해도, 그 음악을 이해하기 위해 골몰하거나 의무감 하나만으로 끝까지 다 들으려고 하면 결국 그 스트레스가 아기한테 가는 건 당연하다.

  • 잔잔하게 듣는다
    아기는 편안하지 못한 소리, 갑자기 크게 울리는 소리를 듣게 되면 양수를 삼킨다고 한다. 양수가 줄어들게 되면 엄마나 아기 모두에게 좋지 않은 건 사실. 심장박동과 장기에서 나는 소리로 뱃속은 이미 시끄러운 상태이므로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잔잔한 정도의 소리가 좋다.

  • 음미하면서 적극적으로 듣는다
    음악을 들려주면 아무렇게나 해도 태아에게 좋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에서 독서나 집안일 등 다른 일을 하면서 음악을 듣는 엄마들이 있는데, 음악으로 태교를 하겠다고 마음먹었다면 좀더 적극적으로 태교에 임해보자. 곡 하나를 듣더라도 작곡가라든가 그 곡이 탄생한 배경, 곡의 제목 등을 일일이 설명해 주거나, 박자에 맞춰 흥얼흥얼 박자를 ‘탁탁’ 쳐주는 것도 요령. 남편과 함께 가볍게 춤을 추는 것도 좋 다.

  • 아기에게는 엄마가 최고의 인기가수
    태아는 엄마의 목소리를 들을 때 가장 편안해 하고, 그 중에서도 엄마가 직접 육성으로 들려주는 노래 소리에 더없는 행복감을 느낀다. 엄마가 노래를 부르는 것은 임신부 자신의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되므로 자주 들려주도록 하자. 잠자기 전 배를 쓰다듬으며 부부가 함께 한 소절씩 자장가를 불러주는 것도 좋다.

  • 태아도 선호하는 곡이 있다
    일반적으로 태아는 엄마의 심장박동과 비슷한 소리를 좋아한다고 한다. 음악 전문가들에 의하면 엄마의 심박수와 비슷하기로는 모차르트의 곡이 가장 유사. 반대로 태아에게 가장 좋지 않은 음악은 째지는 듯한 록 음악이나 매 장마다 곡의 변화가 심한 관현악곡이라고.

  • 자연의 기분 좋은 소리를 들려준다
    바람에 나부끼는 나뭇잎 소리,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 빗소리, 작은 시냇물 소리, 파도소리 등 자연의 기분 좋은 소리를 엄마가 듣게 되면 태아의 감수성이 풍부해진다.

    임신 단계별 음악 태교 요령

  • 임신초기
    소리를 듣진 못하지만, 3주 이후엔 기분에 따라 변하는 심장박동을 감지하기 때문에 엄마의 기분과 정서가 아기에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엄마가 좋아하는 곡 위주로 선곡을 하여 태아도 같은 정서가 되도록 이끈다. 엄마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태아의 발달을 돕는 클래식이나 명상음악이 좋다.

    * 추천곡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4번’, 슈만의 ‘어린이 정경’, 비발디의 ‘사계’중 ‘겨울’, 헨델의 ‘두 개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

  • 임신중기
    청각기능이 발달하고, 소리의 선호도가 생기는 시기이므로 불안정하고 불쾌한 소리는 피한다. 엄마의 목소리로 직접 노래를 들려주거나, 편안한 상태에서 클래식 음악을 들려준다. 두뇌계발을 위해 자연음향을 들려주는 것도 좋다.

    * 추천곡
    슈만의 ‘트로이 메라이’,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중 ‘수족관’,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드뷔시의 교향시 ‘바다’ 제2곡 ‘파도의 유희’, 헨델의 ‘수상음악’에서 ‘알라 혼파이프’, 브람스의 ‘비의 노래’ 제3악장, 라벨의 ‘거울’ 중 제3곡 ‘바다 위의 조각배’와 ‘물의 유희’.

  • 임신말기
    소리의 차이를 구분하는 32주 이후에는 소리의 강약이나 차이를 명확하게 인지하고 구별할 수 있도록, 클래식을 듣더라도 다양한 악기로 연주한 음악을 들려준다. 단, 소리의 강약이 너무 급변하거나 리듬이 불규칙한 음악은 삼간다.

    * 추천곡
    모차르트나 비발디 음악, 진동의 폭이 넓은 현악기 음악은 다 좋다. 그 외,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중 ‘꽃의 왈츠’, 드보르자의 ‘유모레스크’, 크라이슬러의 ‘사랑의 기쁨’, 요한스트라우스 2세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에서 제13곡 ‘백조’ 등.

    음악태교, 이래서 좋아요

  • 감정이 풍부해지고 안정된다
    음악을 자주 듣고 자란 아이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수치가 낮아져 성격이 밝으며, 감정이 풍부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돼 있다.

  • 태아 발달에 좋은 영향을 준다
    실제로 임신부들을 상대로 15분 동안 파도소리, 시냇물 소리를 들려준 뒤 태아의 상태를 관찰한 결과, 심박동의 변화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아의 장기가 제대로 성숙할 때 나타나는 현상. 결국 태아의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뜻이 된다.

  • 출생 후 말을 빨리 배우고 집중력이 높아진다
    음악은 우뇌 영역에 속하는 것이라 뱃속에서 음악을 즐겨 들은 아이는 창의력은 물론이고, 말을 빨리 배우며, 집중력도 높다고 한다.

  • 아기 달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여러 실험에 의하면 태아에게 들려주었던 음악은 아기가 태어나고 나서 울 때, 달래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것. 그리고 일단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잘 울지 않는 편이다.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