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동물농장판 의약분쟁 터지나···수의사·약사 1000억 시장 전쟁

중앙일보

입력

반려동물 이미지. 연합뉴스

반려동물 이미지. 연합뉴스

'동물판 의약분업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수의사의 동물용 의약품 처방을 확대하는 방안을 내놓자 대한약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반려동물 보호자의 비용 부담을 늘린다”면서다.

여기에 대한수의사회가 “동물 건강이 우선”이라며 농림부 편에 서서 ‘맞불’을 놓으면서 현재 전선(戰線)은 수의사회 대 약사회로 형성됐다.

동물의 건강권(수의사)과 반려동물 보호자의 선택권(약사)을 앞세운 양측의 기싸움이 초반부터 팽팽하게 펼쳐지고 있다.  두 단체 갈등의 이면에는 물러설 수 없는 이유가 있다.

농림부·수의사회 vs 약사회 전선 형성 

본격적인 갈등은 지난 16일 시작됐다. 농림부는 이날 개 3·4종 종합백신과 고양이 3종 종합백신 등을 수의사 처방이 필요한 의약품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처방대상 동물용 의약품 지정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예고했다. 농림부는 개정이유로 “동물용 의약품 오남용 방지” 등을 내세웠다. 의견수렴 기간은 다음달 6일까지다.

반려견 백신제제.[중앙포토]

반려견 백신제제.[중앙포토]

"비용부담에 예방접종 포기" 

약사회는 이튿날 공식입장을 내고 ‘(농림부의) 편파적인 수의사 편들기’라고 비판했다. 약사회는 “동물용 백신 등을 수의사 처방이 필요한 의약품으로 강제해 동물 보호자의 비용 부담을 늘렸다”고 주장했다.

약사회 김성진 동물약품위원장은 “동물약국에서 백신을 사다 (보호자가) 주사하는 것과 동물병원에 접종하는 것과 비용 차이가 5배가량 난다”고 밝혔다.

이같은 비용 부담은 예방 접종 포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약사회 측의 주장이다. 대한동물약국협회가 지난달 5~9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9%가량이 동물 의약품을 약국에서 직접 산 뒤 투여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비용 부담으로 예방접종을 포기하거나 중단한 경우도 25%가량 됐다.

자가진료 중 백신 주사 바늘(푸른 원 안)이 부러지면서 몸에 박힌 반려견의 엑스레이 사진. [사진 이학범 수의사]

자가진료 중 백신 주사 바늘(푸른 원 안)이 부러지면서 몸에 박힌 반려견의 엑스레이 사진. [사진 이학범 수의사]

"자가진료 행위로 인한 부작용 심각" 

약사회가 농림부를 압박하자 수의사회가 전면에 나섰다. 수의사회는 지난 22일 공식입장을 통해 “약사회는 동물의료 체계 확립과 동물복지 증진에 협조하라”고 요구했다.

실제 보호자가 약국에서 임의로 구매한 약품만 믿다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가 악화해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수의사회 동물보호복지위원을 지낸 이학범 수의사는 “보호자의 선택권을 떠나 자가 진료행위로 인한 부작용이 심각하다”며 “현재 백신 판매는 합법이지만 (보호자가) 주사를 놓는 것은 수의사법 위반이다. 개정안은 이런 모순을 바로 잡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려동물. 연합뉴스

반려동물. 연합뉴스

처방 의약품 비율 60% 목표인 수의사회 

두 단체가 이처럼 팽팽하게 맞서는 이면에는 한 치도 양보할 수 없는 이유가 있다. 수의사회는 현재 24.5% 수준(2094개 품목)에 불과한 처방 의약품 비율을 6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숙원 사업이란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3년에 한 번씩 처방 의약품을 새로 지정하는데, 이번에 처방 의약품 비율 상향 조정이 무산되면 앞으로도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수의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로 풀이된다.

지역 수의사회 한 관계자는 “약사회는 마치 농림부가 독단적으로 고시 개정을 추진하는 것처럼 말하지만 이미 3년 전 당시 약사회의 의견을 반영해 단계적으로 지정키로 한 품목”이라고 말했다.

올 2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려동물 메디컬&헬스케어 전시회. 뉴스1

올 2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려동물 메디컬&헬스케어 전시회. 뉴스1

1040억 규모 시장 포기할 수 없는 약국 

약사회 입장에서도 물러설 수 없다. 매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반려동물 의약품 판매를 포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국동물약품협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반려동물 의약품 내수시장은 1040억원 규모다. 전국의 동물약국은 올 3월 기준 6163곳에 달한다.

약사회 관계자는 “약국 입장에서는 반려동물 의약품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다”며 “(자가진료에 따른) 부작용은 보호자의 잘못이라기보다는 개체의 특이성이나 체질에 따라 생긴다”고 주장했다.

김민욱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