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콜중독자, ´간이식 받아도 문제없다´

중앙일보

입력

알콜중독자가 간(肝)이식을 받아도 수술 실패율이 정상인과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간이식 대상자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프랑스 몽펠리에 소재 세인트 엘로이병원 조지 파규스 박사는 소화관전문지 ‘것(Gut)’ 9월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간 이식을 받은 알콜중독자 중 약 3분의 1(32%)가 다시 술을 마시지만 음주 재개가 생존율과 면역억제제 순응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알콜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간이식은 의료계에서 아직 논란의 소지가 있다. 프랑스 연구팀에 따르면 알콜중독자들의 간 이식을 반대하는 몇몇 전문가들은 이들이 간이식 후 음주를 재개하면 면역억제제요법이 실패,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이식된 간은 아무 쓸모 없게된다고 주장해왔다.

파규스 박사팀은 연구보고서에서 또 알콜중독자를 간이식 수혜자 리스트에서 제외하려는 도덕적 차별도 엄연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지난 89년부터 94년까지 간 이식을 받은 알콜중독 간경화증환자 53명과 일반 간경화증환자 48명의 수술결과를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알콜중독자 3분의 1이 음주를 재개했음에도 불구, 생존율과 면역억제제 순응률이 두 그룹에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고 파규스 박사는 말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간 이식술 후 술을 다시 마시면 알콜중독자의 간 이식에 대한 일반인들의 견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알콜중독은 ‘악’이 아닌 하나의 ‘질환’으로 인식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펜실베이니아대 의과대학 M.R. 루시 박사는 사설에서 “알콜중독자가 간 이식을 받은 후 술을 다시 마시면 건강에 치명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기 때문에 1차적인 목표는 이들의 음주재개를 줄여야 하는 데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재원 인터넷 명예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